본문 바로 가기

학습 Q&A

강의 내용 궁금증! 교수님이 직접 답변 드립니다.

  • 홈
  • 교수소개
  • 자연계열
  • 이정욱 교수님
  • 학습 Q&A

Q&A 메뉴.png

※ 유의사항
강의에 나오지 않는 내용에 대한 풀이나 해설은 답변을 드릴 수가 없습니다.
학습과 무관한 내용 및 비방/욕설 등 게시판 성격과 무관한 내용은 사전 고지없이 삭제됩니다.
답변 완료된 게시글은 수정 및 삭제 불가합니다.

feymann99_03.png

게시판 글보기
제목 답변완료 [일반물리학] Serway 대학물리학 2 29강
질문유형 강좌내용 교수님 이정욱
과목 일반물리학 강좌명
작성자 박*현 (p********7) 등록일 2022-11-06 13:50

20:30에서 설명하신 것을 따라가다 보면 마지막 광선과 상쇄될 광선이 없지 않나요? 그러면 (완전한) 상쇄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것인가요?

 

 

중앙 극대는 회절각이 0이니 회절이 일어나지 않는 곳(정확히는 회절의 효과가 미치지 않는 곳)이라고 보아도 되나요? 그리고 `이 때문에 중앙 극대의 폭이 2배다.`라고 연결지어서 정성적으로 이해해도 되나요?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댓글
0
이*욱 교수님

회절에 대한 모델링을 할 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질문이네요.

가장 아랫부분에 대한 빛에 대한 상쇄 여부는...이렇게 생각해볼게요.

 

빛살을 아주 작게 나누어서 격자 사이를 지나는 빛이 간섭하는 효과로 해석하고 있죠?

그럼, 중심 부분의 빛을 다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중앙 부분의 살짝 윗부분과 살짝 아래부분으로 나누어 보면 완전 상쇄를 설명할 수 있죠?

그럼 다시 질문이 나타나는게...그럼 중심 부분의 빛살을 다시 나눠 해설 할 수 있느냐 라는 질문이 생길 것입니다.

결론은 네~ 입니다.

 

빛을 파동학적으로 접근할 때는 빛의 진행방향이 화살표로 표현될 뿐..빛의 위상이 전달되는 것입니다. 빛을 횡파로 보면 빛의 위상이 진폭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존재하므로 

위상을 기준으로 중심에서 발광한 빛의 폭을 다시 나눠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중앙 극대를 이해할 때에는...질문하신 것처럼 이해해도 좋은 방법입니다.

 

실제, 면도날의 한 단면을 이용한 회절무늬가 단일 슬릿 격자의 절반만 있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납니다. 이를 이용하면...중앙 무늬 폭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2022-11-08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