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라플라스 변환회로에 대해서...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양진목 |
과목 | 회로이론 | 강좌명 | [회로이론] 노베이스도 이해하는 회로이론 (핵심개념+문제풀이) |
작성자 | 구*수 (a*********9) | 등록일 | 2025-09-24 18:34 |
첨부파일 | |||
평가문제 13.4에서 교재 225페이지에 나와 있는 라플라스 변환회로에 대하여 궁금한 사항이 있어서 글을 올립니다. 자세한 질문사항은 첨부파일에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양진목입니다.
주중에 급하게 처리해야 하는 일이 있어서 답변이 많이 늦어졌습니다.
불편을 드려 대단히 죄송합니다.
질문하신 부분은 임펄스함수, 단위계단함수 등의 특이함수에 관한 내용인데요 이들 함수는 수학과 대학원에서 배우는 것이라 저도 정확한 내용은 잘 모르고 습관적으로 사용해 온 방식을 따라 표현한 것입니다. 따라서 엄밀하게 따져보면 저의 표현이 정확하지 않을수도 있는데요 회로이론 수준에 국한하여 직관적으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라플라스변환의 정의에서 적분의 하한을 0, 0+, 0- 이렇게 3가지로 소개를 하는데 회로이론에서는 스위칭 등에 의해 회로의 구조가 바뀌거나 불연속전원의 존재로 인해 t=0-와 t=0+에서의 전압, 전류값이 불연속인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를 기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임펄스함수, 단위계단함수 등을 도입하는데요 이때 라플라스적분의 하한을 0-로 정의하면 이들 특이함수들을 삼각함수, 지수함수 등의 일반함수들과 조화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라플라스변환회로에는 t=0-에서 커패시터와 인덕터의 초깃값에 의한 전원이 존재하는데요 스위치가 이동한 후이므로 t>0에서의 회로구조를 바탕으로 라플라스변환회로를 그리지만 t=0-에서의 영향이 인덕터, 커패시터의 초깃값에 의한 전원에 남아 있으므로 이런 의미에서 t≥0-와 같이 표현한 것입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안녕히계세요.
- 2025-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