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4강 [실수계] 실수의 순서 성질1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강영재 |
과목 | 해석학 | 강좌명 | [해석학] 입문자를 위한 실해석학 (이론+증명) |
작성자 | 박*아 (k***********************f) | 등록일 | 2025-04-18 22:57 |
4강 실수계 실수의 순서 성질1 강의 중 프린트물 p.7쪽 질문드립니다 정리 : 임의의 a가 R의 부분원소일때, a가 양수이면, -a는 음수이고, a가 음수이면 -a는 양수이다에서. a가 음수이면 -a는 왜 양수를 어떻게 증명하여야 하나요? 제가 정리한 바를 적어보자면 a가 음수일때, a<0이라 하자. 각 양변에 -a를 더하면 a+(-a) < 0+(-a) 이고, 0<-a 이다. 이때, -a는 0보다 크므로, -a는 양수이다. 처럼 증명하는게 맞나요?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관*자
안녕하세요. 유니스터디입니다.
질문에 대한 강영재 교수님의 답변입니다.
네. 학생의 증명 방법이 맞습니다.
- 2025-04-23
- 2025-04-23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