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1강에서 역함수에 대해 설명하실때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임계수 |
과목 | 강좌명 | ||
작성자 | 윤*현 (d*****4) | 등록일 | 2019-09-09 20:52 |
1강에서 역함수에 대해 설명하실때 역함수는 항등관계를 유지하면서 단지 표현만 바뀌는 거라고
y x 위치바꿔서 이렇게 하는게 아니라고 설명하셨는데 그럼 중고등학교에서 배운 y x 바꿔서 역함수 구하는거 배우는건 뭐였나요?
차이가 모호해서 질문드립니다. 확실히 구분해서 설명해주실수 있나요?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기본함수에 관한 질문이여서, 직접 답변드립니다.
[중고등학교 때]
예를 들어 y = 2x + 1 이라는 f(x) 함수가 있을 때,
중고등학교 때 배운것 처럼 풀면
1) x, y 바꾸고 => x = 2y + 1
2) y에 대해서 정리하면 => y = 2 ( x - 1 )
이렇게 해놓고
f^-1(x)는 y = 2 ( x - 1 ) 이다.
라고 한다는 것 입니다.
이게 역함수의 정의가 아니라는 것 입니다.
(이건 y=x 직선에 대칭되는 함수를 찾은 것 이지요)
마치 무슨 미분처럼, 이렇게 계산하는 것이 역함수라고 말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자면 이 개념이 아니라는 것 입니다.
[본래의 의미]
예를 들어 y = 2x + 1 이라는 f(x) 함수가 있을 때,
역함수는, x의 대한 y의 관계를 찾는 것 입니다.
아시다시피
예를 들어 f(a) = b 라는 함수 f(x)가 있을 때,
b를 결과값으로 얻기 위해서는 x에 무엇을 입력해야 할 지 찾을 때 사용합니다.
그래서 위의 식을 정리하면
y = 2x + 1 => x = 2 ( y - 1 )
어라? x, y만 바꾸면 중고등학교때 배운 것과 같지요?
네, 중고등학교 때는 이 개념을 전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냥 역함수는 이런거다 라고 설명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또는 학생들이 오해하기도 하지요.
물론 계산하거나 값을 찾으려면
결국 중고등학교 때 배운 것과 같아집니다만,
계속 강조하시는 것은
"역함수란 x와 y를 바꿔서 정리하는 거야!" 라는 것이 틀렸다 라는 것 입니다.
그래서 강의에서 교수님께서는
y = f(x) <==> x = f^-1(y)
이 관계에 대해 중요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 쉽게 표현하자면 x가 y로 표현되어지는 함수를 역함수라 합니다.
1강을 다시 한 번 천천히 들어보시길 추천 드립니다.
[요약]
계산하는 방법이 잘 못 되었다는 것이 아니라,
그걸 역함수라고 하면 안된다는 것 입니다.
- 2019-09-10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