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선형대수학 6단원 예제2.46(p.204)이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임계수 |
과목 | 선형대수학 | 강좌명 | [선형대수] 선형대수 (Ver.2025)-풀코스 (이론+증명+문제풀이) |
작성자 | 이*환 (w******1) | 등록일 | 2025-08-12 20:22 |
안녕하세요. 요즘 좀 질문이 잦아 죄송함을 무릅쓰고 질문드립니다. p.204 예제2.46에서 케일리해밀턴 정리 모양을 만들기 위해 A를 고윳값 람다로 바꾼 것까지 이해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나온 람다에 대한 삼차식을 인수분해를 했습니다. 그래서 람다의 후보는 1과 -1플마 루트2였는데요, 교수님은 여기서 원래 특성방정식의 모양을, 상기한 켤레무리근 두 개를 해로 갖는 람다에 대한 2차식으로 추론한 후 푸셨습니다. 제가 궁금한 지점은 여기인데요. A가 2차 정방행렬이라는 정보밖에 없으니, 특성방정식을 유리근과 무리근을 가지는 모양으로 추론할 수도 있지 않나요? 예컨대 1과 -1+루트2 이 두 가지를 고유값으로 갖는 2차 정방행렬 A는 만들 수 없는 건가요? 왜 꼭 람다에 대한 특성방정식이 켤레무리근을 가지는 식이어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선대가 공업수학에서도 많이 쓰이고 공학에서도 굉장히 기본도구라고 하여서 의문가는 게 있으면 계속 질문을 하네요.. 항상 죄송하고 감사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관*자


안녕하세요.
유니스터디 임계수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 2025-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