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답변완료 궁금합ㄴ디ㅏ |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임계수 | 
| 과목 | 미분적분학 | 강좌명 | [미분적분학] 미분적분학1 기본 (이론+예제풀이) | 
| 작성자 | 김*재 (a******9) | 등록일 | 2025-03-09 09:09 | 
| 
 어떤 이유에서 = root(a^2+b^2)로 전개되는지 전혀 모르겠습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 댓글
- 1
                
                    관*자
                    
                
                

                
                
            
        안녕하세요. 
유니스터디 임계수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 2025-03-12
- 
                    
                    
                    김*헌제가 교수님은 아니지만 대신 답변 드리면 수학적 발상이라고 생각되는데요. root a^2 + b^2 을 양변에 곱하면 꽁짜는 아니니깐(?) 양변 나누기 root a^2 + b^2도 해주어야 되지요. 그러면 sinx에는 a/root(이하 생략), cos x에는 b/root(이하 생략)이 붙게 됩니다. 이때 사이각이 alpha인 직각 삼각형을 생각해보면 root(이하 생략)은 빗변이 되고 a,b는 각각 밑변과 빗변이 됩니다. 최종적으로 삼각함수의 정의를 사용해보겠습니다. a/root(이하 생략), b/root(이하 생략)를 cos alpha, sin alpha (관점에 따라서 둘이 바뀔 수 있음.)로 변환가능하죠. 가능해집니다. 이제 덧셈정리를 활용하면 삼각함수의 합성 공식이 유도가 완료됩니다. - 2025-03-10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