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로그의 진수 조건 질문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임계수 |
과목 | 강좌명 | ||
작성자 | 유*현 (y*****5) | 등록일 | 2024-05-26 18:26 |
미적분학1 p.33 예제 5.5의 (2)번 문제 log (x+3) + log (x-5) = 1 에서
첫 번째 방정식의 진수 조건은 x > -3 and x > 5 이므로 최종 결과에서 x = -4 , x = 6 중 x = 6 이 나오는 것은 이해했습니다.
그리고 문제 풀이 도중에서 로그의 합은 진수의 곱인 로그 성질에 의해 log (x+3)(x-5) = 1 로 합친 이후에 계산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합친 로그의 진수 조건은 (x+3)(x-5) > 0 로 이 부등식을 풀면 x < -3 оr x > 5 가 나오므로 결과적으로 x = -4 , x = 6 둘 다 진수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옵니다.
log (x+3) + log (x-5) = 1 는 진수 조건이 x > -3 and x > 5 로그의 성질에 의해 합쳐진 두 로그인 아래 식은 log (x+3)(x-5) = 1 는 진수 조건이 x < -3 оr x > 5 이므로 방정식의 답이 1개이거나 2개로 나뉘는 것이 이해가 가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또 예제 5.5 (3)번 문제
x^(log₂x) = x^2 <=> log₂x = 2 ( 밑이 동일하므로 지수끼리 비교) <=> 2^2 = x ( 역함수로 바꿈) <=> x = 4 로 최종 결과가 4가 나왔는데,
답지를 보니 1도 답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그래서 생각해보니까 x = 1 을 대입하면 1^(log₂1) = 1^2 1^(0) = 1^2 1 = 1 즉, 1도 위 방정식의 해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로그 방정식을 풀 때 위의 경우에는 단순하게 지수끼리 비교 후 나온 결과를 답으로 작성하는 흐름으로 생각했는데, 방금같이 x=1 을 넣었을 때도 고려해야 하는 상황을 어떻게 구분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유니스터디 임계수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 2024-05-29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