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동역학 28강 example 5.8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권준표 |
과목 | 동역학 | 강좌명 | |
작성자 | 안*훈 (k****3) | 등록일 | 2022-09-21 10:53 |
첨부파일 | |||
#동역학 #rigid body #relative velocity
V-a=V-b+V-a/b가 어떻게 되는지 이해가 되지않습니다. R-a=R-b+R-a/b로 해보니 이상해서 질문드립니다. V-b가 원점에 관한것이 아니라 C점에 관한건데 어떻게 저런식으로 표현이 될 수 있는거죠? 저랑 비슷한 고민을 한 분에 대한 답을 봤는데도 납득이 가질않습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지난 답변까지 봐주셨는데 이해가 어렵다고 하시니
제가 정말 죄송합니다.
모든 답변을 성실히 해드리고 있는데
아무래도 글로 설명하는 것이다 보니
부족한 게 많은 것 같습니다.
이번엔 잘 이해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보겠습니다.
제가 이 문제를 강의하면서 알려드린 핵심은
상대속도의 개념입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상대속도는 그 기준을 어떻게 잡느냐가 매우 중요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OA바에서의 A의 순간 회전속도는
BA바에서의 A의 순간 회전속도와 항상 같아야 합니다.
그 이유는 두 개가 붙어 있기 때문이죠.
OA바에서의 회전속도를 v_A라고 한다면,
이 v_A라는 회전속도는
CB바에서의 회전속도 V_B/C에다가
BA바에서의 회전속도 V_A/B를 더한 것이어야 하겠습니다.
아마 제가 노란색으로 칠한
V_A = V_B + V_A/B
라는 식 때문에 헷갈리신 것 같은데
여기에서의 A, B는
문제 상에서의 A, B가 아닙니다.
그저 상대속도의 개념을 상기시켜주기 위한
대표식을 제가 한번 더 적은 것뿐입니다.
위의 내용이 잘 이해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열심히 공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2022-10-01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