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학습 Q&A

강의 내용 궁금증! 교수님이 직접 답변 드립니다.

  • 홈
  • 교수소개
  • 공학계열
  • 권준표 교수님
  • 학습 Q&A

Q&A 메뉴.png

※ 유의사항
강의에 나오지 않는 내용에 대한 풀이나 해설은 답변을 드릴 수가 없습니다.
학습과 무관한 내용 및 비방/욕설 등 게시판 성격과 무관한 내용은 사전 고지없이 삭제됩니다.
답변 완료된 게시글은 수정 및 삭제 불가합니다.

kwonjunpyo_03.png

게시판 글보기
제목 답변완료 [유체역학-5강] 표면력
질문유형 강좌내용 교수님 권준표
과목 유체역학 강좌명
작성자 민*우 (m*******3) 등록일 2022-08-06 00:33
첨부파일

#유체역학 #표면장력 #표면력

 

안녕하세요. 

 

유체역학 5강 강의 6분 20초 , 표면장력 공식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첨부한 사진처럼 물이 채워진 그릇에 파란색 화살표로 표면력이 작용한다고 하셨는데, 표면력을 처음 들어봐서 질문드립니다. 

 

1.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표면력이란 `유체덩이와 주변과 분리되는 경계면을 가로질러 힘이 작용하는 것 `이라고 설명이 나오는데 이대로 이해하면 될까요?

 

2. 교수님의 역학강의는 고체역학 한방에 끝내기만 들었습니다. 표면력에 대해 다른 강의에서 설명하셨는데 혹시 제가 놓친 것일까요? 표면력이란 개념이 어디서 처음 등장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댓글
0
권*표 교수님

표면장력(Surface Tension)이란

물질과 물질의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힘인데요.

 

예를 들어 공기/물 경계면이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물은 물끼리

공기는 공기끼리

뭉치려고 하는 게 

모든 물질의 속성입니다. (끼리끼리)

 

때문에 물은 물끼리 최대한 모이려고 할 것이고,

이를 다르게 표현하면

외부 표면의 넓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최대한 뭉치려고 할 겁니다.

 

우주에서 물방울이 둥둥 떠다닐 때

원형 모양으로 물방울이 생기는 이유입니다.

(구형태가 단위 질량 당 표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공기/물 경계면에서

이처럼 물은 물끼리 서로 최대한 당기면서

공기와 닿는 면적을 최소화하려고 할 텐데

 

이 과정에서 물 분자끼리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발생합니다.

 

우리는 물/공기 경계면에서

이처럼 물분자끼리 서로 끌어당기는 힘을 상쇄하는 또 다른 힘을

표면장력이라고 부릅니다.

 

사진에서 나온 문제의 경우

반원통관안에 당긴 물이 갖는 표면장력을 계산하는 것인데

 

물과 공기가 

반원통관 끝에서 서로 만나기 때문에

이 표면적의 tangential 방향으로

표면장력이 작용하는 겁니다.

 

기계과에서는 아주 중요하게 다뤄지는 부분은 아니지만

제조공정이 점차 미소화되고

바이오 등의 내용이 점차 중요해지면서

점점 중요해지는 개념이 되고 있습니다.

 

표면장력은 유체역학 또는 1학년 때 배우는 화학과 같은 과목에서 소개될 겁니다.

고체역학에서는 나오지 않는 개념입니다.

 

열심히 공부하세요!  

  • 2022-08-07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