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공업열역학] 열역학 제대로 끝내기 1&2 법칙 [9강] 밀폐계(피스톤-실린더, 기체+액체) 5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권준표 |
과목 | 공업열역학 | 강좌명 | |
작성자 | 정*상 (f*****4) | 등록일 | 2022-06-14 15:43 |
첨부파일 | |||
안녕하십니까 교수님! 저번에 질문드린 내용에 대해 교수님께서 답변해주신 내용을 봐도 살짝 이해가 가지 않아서 재질문 드립니다! 일단 교수님께서도 아실테지만 일단 문제는 파일로 첨부했고 (c)부분 "Determine the heat transfer from the surrounding"에서 전달된 열 Q값을 구하라고 돼있어서 Q = delta H + W을 이용해 Q를 구하는 것이고 (b)부분에서는 이미 W를 구했으니 delta H만 구하면 되는데, 이 delta H를 다시 air, vapor, liquid 세 부분으로 나누어서 delta H 를 구하는 것까지는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이 delta H vapor 부분인데, 교수님께서는 m2wv(상태2에서 vapor의 질량)를 0.51589kg으로 대입했고 x = 0.51589를 이용해 h2wv(상태2에서 vapor)를 1802.16로 대입해서 delta H vapor를 구하셨습니다. 제가 저번에 질문한 내용의 핵심은 이 h2wv 값을 hf + x(hfg)로 구해서 대입하는 것이 아닌 T = 180도일때의 포화 증기의 비엔탈피 값 즉, hg = 2777.2로 해야 하는 것 아닌가 였습니다. 이 생각에는 변함이 없고 이렇게 생각한 이유는 m2wv에서는 이미 건도 x = 0.51589를 적용했기 때문에 h2wv는 sat.vapor상태에서의 비엔탈피 값을 적용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만약에 교수님 풀이대로 h2wv = 1802.16을 적용한다면 m2wv부분을 1kg으로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두 번째 첨부한 사진은 교수님의 풀이대로 했을 때 상태2에서의 엔탈피 값(vapor + liquid x= 0.51589)을 푼 것입니다.
항상 정성을 다해 답변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좋은 질문입니다.
제 생각에는
아무리 우리가
- Air
- Water Vapor
- Water Liquid
로 구분을 했다고 해도
그리고 건도를 구하여
해당 질량을 각각 구했다고 하더라도
실제 Water Vapor가
Sat. Vapor까지 도달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습증기 상태의 엔탈피 값을 넣어주는 것이 맞아보입니다.
건도를 적용해서
각각 성분을 나눴으니
Sat. Vapor의 엔탈피를 넣어주는 게 맞겠다는
학생분의 생각도 이해가 되지만
이 과정 중에
vapor가 sat. 상태에 실제로 도달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sat.에서의 값을 넣으면
너무 엔탈피가 크게 계산될 것 같습니다.
이 문제가 답이 없는 문제라
저도 정확한 답이 무엇인지는 모르겠는데
저라면 제가 푼대로 정답을 낼 것 같습니다.
계속 저도 고민을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2022-06-21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