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고체역학 한방에 끝내기`_3강_ ex2.2_ 변형량(dispacement) 계산과정 질문.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권준표 |
과목 | 고체역학 | 강좌명 | |
작성자 | 백*현 (v****3) | 등록일 | 2021-09-03 17:27 |
첨부파일 | |||
#고체역학, #변형량, #dispacement
다름이 아니라 고체역학 한방에끝내기 3강_약 48분경에 나오는 내용중 A의 변형량을 나타내는 과정중에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생겨 이렇게 질문 남깁니다.
다른 과정들은 이해가 가는데 위 그림처럼 각 변형률 d_bd, d_ce를 나타낸 후 이것을 삼각형으로 이어서 점 A의 변형률을 그리는게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d_bd와 d_ce를 알때 삼각형을 그려 d_A를 표시하고 계산 하는 과정이 어떤 원리로 된것인지 알기 원합니다. 즉, 왜 세 변형량 d_A, d_bd, d_ce의 끝점이 임의로 그린 삼각형의 빗변에 위치하는지 궁금합니다.
바쁘실시간 긴 글 읽어주셔 감사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원래 문제가 ABC가 다 한 강체 안에 있는 점입니다.
강체라는 것은
힘을 가해도 변형량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결국 강체인 ABC를 받치고 있는
기둥 BD와 CE만 변형될 것이고
ABC 강체는 회전만 할 뿐 변형되지 않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Linear displacement만을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변형되는 기둥은 가해지는 하중에 선형관계를 가지면서 변형되며,
ABC 라인은 선형성을 유지한 채
회전만 되어
삼각형 닮음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것입니다.
아마 말로 하면 많이 이해가 어려울 겁니다.
혹시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갓준표 오픈채팅방을 통해 알려주시면
제가 따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울러 그래도 이 문제가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가볍게 넘기세요.
중요한 문제이긴 하지만
이 문제 하나로 너무 시간을 뺏기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쭉 강의를 수강하시다보면
언젠간 자연스럽게 이 내용이 이해가 되실 겁니다.
질문에 답이 됐기를 바랍니다.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문제 관련하여 다른 질문과 답변도 있으니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https://godjunpyo.com/고체역학/?mod=document&pageid=1&kboard_search_option%5Btree_category_1%5D%5Bkey%5D=tree_category_1&kboard_search_option%5Btree_category_1%5D%5Bvalue%5D=Ch.+2+Axially+Loaded+Members&uid=623
- 2021-09-07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