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동역학 한방에 끝내기] 35강 30분 42초 / 삼각형으로 가속도를 파악하기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권준표 |
과목 | 동역학 | 강좌명 | |
작성자 | 이*현 (l*********0) | 등록일 | 2021-05-10 23:30 |
#동역학 #강체 #평면 #힘 #질량 #가속도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이 글에 질문을 올린 학생입니다. 교수님이 올려준 링크에서 A,B가 접선방향으로만 운동하고 질량중심 G에서 계산이 가장 편리하므로 G를 기준으로 풀이를 전개해 나가는 것을 이해했습니다. 그러나 이건 제가 질문한 내용에 대한 답과는 무관한 내용이고 아직 해결이 되지 않아 다시한번 질문드립니다. 이 삼각형에서 A도 마찬가지로 회전하므로 각가속도 alpha고 G점에 대한 거리가 2니 접선가속도가 2alpha가 된다고 생각하는데 해당 삼각형은 피타고라스정리를 쓰면 해당 벡터의 크기는 가속도의 크기니 2루트3alpha가 접선가속도가 되어서 둘이 등호가 성립하지않아서 제가 어디부분을 놓쳐 이부분을 착각하는지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링크에 올린 질문입니다. 다시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이전 답변이 많이 미흡했던 부분에 대해
먼저 사과드립니다.
질문하신 내용을 보니,
- A점이 회전하기 때문에
- 회전에 의한 접선 가속도를 계산하게 되니
- 위에서 표현된 상대 속도 삼각형의 기하학적인 부분과 모순된다는 점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문제의 경우,
A와 B가 구속되어 있는 경우이기 때문에
질량중심에서의 회전 가속도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 부분에 대한 접선 가속도를
A 또는 B에 고려해주지 않습니다.
상대 가속도 개념이 나와서
조금 어려울 수도 있는 부분인데
구속조건을 잘 생각하셔셔 이해해보시길 바랍니다.
이번 답변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부족하다면 지금과 같이 또 질문주세요.
감사합니다.
그러므로
수평 또는 수직 부분에 대한 가속도만 고려하여
가속도 관계를 만족시켜주는 것이 맞겠습니다.
- 2021-05-17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