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학습 Q&A

강의 내용 궁금증! 교수님이 직접 답변 드립니다.

  • 홈
  • 교수소개
  • 공학계열
  • 권준표 교수님
  • 학습 Q&A

Q&A 메뉴.png

※ 유의사항
강의에 나오지 않는 내용에 대한 풀이나 해설은 답변을 드릴 수가 없습니다.
학습과 무관한 내용 및 비방/욕설 등 게시판 성격과 무관한 내용은 사전 고지없이 삭제됩니다.
답변 완료된 게시글은 수정 및 삭제 불가합니다.

kwonjunpyo_03.png

게시판 글보기
제목 답변완료 [열역학 한방에 끝내기] 22강 Tds 방정식
질문유형 강좌내용 교수님 권준표
과목 공업열역학 강좌명
작성자 인*우 (l**********t) 등록일 2021-04-29 02:19
첨부파일

#정압변화#정적변화#Tds 방정식

금일 Diesel cycle 강의와 Tds 방정식 강의를 수강했는데 T-s 선도에서 정적변화가 정압변화보다 기울기가 급한 것은 수학적으로 알겠습니다.

그런데 이를 밀폐계에 대입해서 생각해보면 개념적으로 너무 헷갈립니다.

정적가열을 하면 열량값이 곧 내부에너지의 증가로 이어지고 정압가열을 하면 열량값이 곧 엔탈피의 증가(혹은 내부에너지 증가 + 체적일)로 이어지는데 이 점과 T-s 선도에서 기울기가 왜 더 급한지를 연결 짓기가 어렵습니다.

T-s 선도 상에서 T가 같을 때와 s가 같을 때로 나눠서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댓글
0
인*우

안녕하세요.

 

이미 다 알고 계신 것 같은데
어떤 답변을 원하시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제 생각을 적어드렸으니
한번 확인해보세요.

정적과정과
정압과정의 가장 큰 차이는

어떤 에너지(열 또는 일)을 계에 투입했을 때
- 정적과정은 투입된 일 또는 열이 오로지 내부에너지의 증가로 이어지지만,
- 정압과정은 내부에너지의 증가와 계가 외부로 하는 일의 증가 모두를 야기하다는 점입니다.

때문에 아래의 그림과 같이
(이상기체일 때는 내부에너지의 변화가 온도의 변화이므로)
1번에서 2번까지 어떤 특정 온도(또는 내부에너지)까지 올리기 위해
열 또는 일을 투입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정적과정일 때 필요한 에너지가
정압과정일 때 필요한 에너지 보다 적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앞에서 말했다시피
정압과정일 때는
투입된 에너지가 오로지 내부에너지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일로 발산되는 변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은 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한 영상은
아래에 있으니
같이 공부해보시길 바랍니다.

물론 Tds를 dq로 간주했기 때문에
모든 해설은
내부 가역적이라는 전제를 갖고 있습니다.

공부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PNG-image.png 

 

 

 

비슷한 내용으로 아래의 강의가 있습니다.

 


 

  • 2021-05-02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