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6강] 부호 규약에서 +의 의미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권준표 |
과목 | 고체역학 | 강좌명 | |
작성자 | 이*기 (l****6) | 등록일 | 2021-04-15 18:57 |
첨부파일 | |||
# 부호규약 #SFD 와 BMD
1.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고 부호규약에 관해서 제가 정리한 그림 첨부해드립니다. 오른쪽에서 자르면 위쪽 방향으로 V , 반시계방향 M이 +이고 왼쪽에서 자르면 아래방향 V , 시계방향 M이 +다 라고 부호규약을 정해놓고 풀이를 하셨는데요.
강의 중에서 부호 규약에 맞는 +값을 넣어 주면 된다 라고 하셨습니다. 예를들어 오른쪽에서 잘랐다면 +값이라고 정의한 위쪽방향 V와 반시계방향 M을 오른쪽에 그려주면 된다라는 것인데, 이런식으로 왼쪽으로 자른건지 오른쪽으로 자른건지 구분하고 무조건 +라고 정의한 v와 M 을 넣어주면 되는 것인가요? (강의에서는 오른쪽에서 잘랐고 +로 정의된게 위쪽 V랑 반시계방향 M이니까 이걸 그려준다! 이런느낌으로 받아들이면 되는건가요?)
2. 강의 마지막부분에 SFD를 그리실때 a가 b보다 기니까 저는 pa/L이 Pb/L보다 부호 떼고 크기가 더 크다고 생각해서 (왜냐면 a>b이므로) 그래프를 첨부파일처럼 pa/L이 높이가 더 길게 그렸는데 강의 상에서는 더 높이가 더 작더라고요 제가 잘못이해한 것인가요?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두 질문 모두
학생분께서 이해하신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학생분께서
+라고 정의한 전단력/모멘트를 넣어주실 때는
+로 넣어주시면 됩니다.
또한 두번째 질문의 경우,
a > b이기 때문에
크기를 (굳이) 반영한다면
학생분께서 하신 것처럼 그리는 것이
더욱 정확하겠습니다.
BMD & SFD 에 관해서는
갓준표 유튜브 채널에
무료 강의 영상이 있습니다.
한번 꼭 들어보시길 바랍니다.
- 2021-04-16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