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유체역학 한방에 끝내기] 7강 11분 15초 / 기체의 압력변화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권준표 |
과목 | 유체역학 | 강좌명 | |
작성자 | 이*현 (l*********0) | 등록일 | 2021-04-10 14:51 |
#유체역학 #깊이에따른압력변화 #정지유체압력분포 #액체 #기체
액체에서 압력의 방향이 아래로 갈수록 증가하니 윗면의 압력은 PdA고 dy만큼 떨어진 밑면의 압력은 dy만큼의 차이를 반영하니 더해줘야하고 압력의 변화는 아래로 갈수록 증가한다는 사실을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기체에서 압력분포를 설명할 때 압력의 변화는 위로 갈수록 감소하는데 왜 윗면의 압력이 밑면의 압력보다 dy를 반영해서 더해줘야하는지 헷갈립니다. 정지해있는 유체의 압력은 올라갈수록 줄어드니 마찬가지로 기체에서도 윗면의 압력이 밑면의 압력보다 dy를 반영한만큼 빼주거나 액체처럼 윗면은 PdA고 밑면이 dy변화 만큼 더해주는 거 아닌가요? 일단 윗면의 압력을 크게 잡으면 결론이 압력의 변화는 위로 갈수록 감소한다인 것 같은데 액체랑 기체는 특성이 서로다른 유체라서 이렇게 값을 두는 것이 가능한건가요? 헷갈려서 답변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항상 쉽고 질 좋은 강의 고맙습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좌표가 각각 다르기도 해서
조금 이해에 어려움이 있으셨을 것 같습니다.
일단 아래와 같이 이해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여기서의 핵심은
물체의 길이에 따라 증가하는
미소자중의 방향이
dP의 방향과 같거나/다르다는 점입니다.
element의 관점에서
각각 힘 평형 방정식을 이해하면
어떻게 문제에 적용하든
다 동일한 답이 나올 것입니다.
갓준표 사이트에
"equilibrium of fluid element"라고
검색해보시면
많은 내용이 정리되어 있으니
한번 같이 공부해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2021-04-13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