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학습 Q&A

강의 내용 궁금증! 교수님이 직접 답변 드립니다.

  • 홈
  • 교수소개
  • 공학계열
  • 권준표 교수님
  • 학습 Q&A

Q&A 메뉴.png

※ 유의사항
강의에 나오지 않는 내용에 대한 풀이나 해설은 답변을 드릴 수가 없습니다.
학습과 무관한 내용 및 비방/욕설 등 게시판 성격과 무관한 내용은 사전 고지없이 삭제됩니다.
답변 완료된 게시글은 수정 및 삭제 불가합니다.

kwonjunpyo_03.png

게시판 글보기
제목 답변완료 {유체역학 한방에 끝내기] 7강 11분 15초 / 기체의 압력변화
질문유형 강좌내용 교수님 권준표
과목 유체역학 강좌명
작성자 이*현 (l*********0) 등록일 2021-04-10 14:51

#유체역학 #깊이에따른압력변화 #정지유체압력분포 #액체 #기체

 

  액체에서 압력의 방향이 아래로 갈수록 증가하니 윗면의 압력은 PdA고 dy만큼 떨어진 밑면의 압력은 dy만큼의 차이를 반영하니 더해줘야하고 압력의 변화는 아래로 갈수록 증가한다는 사실을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기체에서 압력분포를 설명할 때 압력의 변화는 위로 갈수록 감소하는데 왜 윗면의 압력이 밑면의 압력보다 dy를 반영해서 더해줘야하는지 헷갈립니다. 정지해있는 유체의 압력은 올라갈수록 줄어드니 마찬가지로 기체에서도 윗면의 압력이 밑면의 압력보다 dy를 반영한만큼 빼주거나 액체처럼 윗면은 PdA고 밑면이 dy변화 만큼 더해주는 거 아닌가요? 일단 윗면의 압력을 크게 잡으면 결론이 압력의 변화는 위로 갈수록 감소한다인 것 같은데 액체랑 기체는 특성이 서로다른 유체라서 이렇게 값을 두는 것이 가능한건가요? 헷갈려서 답변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항상 쉽고 질 좋은 강의 고맙습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댓글
0
이*현

안녕하세요.

좌표가 각각 다르기도 해서
조금 이해에 어려움이 있으셨을 것 같습니다.

일단 아래와 같이 이해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여기서의 핵심은
물체의 길이에 따라 증가하는
미소자중의 방향이
dP의 방향과 같거나/다르다는 점입니다.

element의 관점에서
각각 힘 평형 방정식을 이해하면
어떻게 문제에 적용하든
다 동일한 답이 나올 것입니다.

갓준표 사이트에
"equilibrium of fluid element"라고
검색해보시면
많은 내용이 정리되어 있으니
한번 같이 공부해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IMG_B87CB585978E-1.jpeg

 

  • 2021-04-13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