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학습 Q&A

강의 내용 궁금증! 교수님이 직접 답변 드립니다.

  • 홈
  • 교수소개
  • 공학계열
  • 권준표 교수님
  • 학습 Q&A

Q&A 메뉴.png

※ 유의사항
강의에 나오지 않는 내용에 대한 풀이나 해설은 답변을 드릴 수가 없습니다.
학습과 무관한 내용 및 비방/욕설 등 게시판 성격과 무관한 내용은 사전 고지없이 삭제됩니다.
답변 완료된 게시글은 수정 및 삭제 불가합니다.

kwonjunpyo_03.png

게시판 글보기
제목 답변완료 열전달 한방에 끝내기 11강 라플라시안
질문유형 강좌내용 교수님 권준표
과목 열전달 강좌명
작성자 김*영 (e*******4) 등록일 2021-04-05 15:32

#라플라시안 #열전달한방에끝내기 #전도 #1D conduction 

 

교수님. 강의 5분10초대에서

1D conduction , steady state에서는 직각,원통,구좌표계가 모두  k∇^2 = 0 이라고 말씀하신점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직각좌표계는 이해가 되지만, 

원통, 구좌표계예서는  중간에 r 과 r제곱이 끼니까 저 말이 틀려야 되지 않을까요..?

그런데 막상 이걸로 유도한 식은 또 옳게 나와서, 혼란스럽습니다.

 

저부분에대한 추가설명이 듣고 싶습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댓글
0
김*영

안녕하세요.

굳이 말하자면,
cylinder나 sphere에서
k∇^2 = 0
이 만족한다고 할 수는 없겠죠.

지적해주신 부분이 맞습니다.

이 부분에서의 핵심내용은

1) k=Const
2) Steady state
3) No generation일 때는
heat transfer rate, q가 x 또는 r에 independent하다는 것입니다,

Heat rate가 위치에 따라 변하는 것이 아닌
온도차와 물성치에 의해서만 바뀐다는 것을
Conservation of energy를 통해 증명했기 때문에

우리는 electrical circuit analogy와 같은
standard apporach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죠.
- General solution for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 The boundary condition to obtain the particular solution
- Determine the heat transfer rate 

어차피 모든 경우에 대해
우리는 q와 T의 관계식을
Fourier Law와 Electric Circuit Analogy를 이용해서
풀었기 때문에

지적해주신 governing equation과는 상관 없이
유도한 식들이 잘 계산되게 될 것입니다.

1D Conduction에서의
q를 더 이해해보고 싶으시면
직접 챕터 내용을 읽어보세요.

아마 잘 설명되어 있을 겁니다.

질문에 대한 답이 됐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2021-04-08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