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열전달 진도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 ||
---|---|---|---|
질문유형 | 학습방법 | 교수님 | 권준표 |
과목 | 열전달 | 강좌명 | |
작성자 | 이*창 (9*****o) | 등록일 | 2024-09-05 02:32 |
첨부파일 | |||
안녕하세요~ 열전달 수업을 듣고 있는 이수창 학생입니다. 질문이 3가지 있습니다.
1. 첨부한 사진이 열전달 과목에 대한 중/기말고사의 학교 시험 범위인데, 중간고사 범위인 1~7장(~대류열전달:개요)까지의 범위에 해당하는 인강을 먼저 들으려고 합니다. 권준표 강사님의 열전달 강의 중 몇강까지가 해당 중간고사 범위인가요? (기말고사 범위인 9~15장에 해당하는 강의 범위 또한 몇강까지인지 알려주시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2. 저희학교 열전달 교수님께서 이번학기에는 자연대류, 열교환기, 복사열전달을 추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시는데, 해당 강의 또한 강사님의 강의에 포함되어 있나요?
3. 열전달 문제를 풀던 중, example문제별 goverment equ를 세울 때, 전도/대류/복사의 유/무여부를 판단하는것은 문제를 많이 풀며 습득하는것인가요? 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나요?
열띤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첫 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
첨부해 주신 사진을 기반으로 볼 때, 9~15주는 외부와 내부의 대류입니다. 제 강의 25~40강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목차에 나오는 질문을 참고해 주세요.
[두 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
본 강의에는 없고, 아래의 링크(12강)를 통해 들으시면 됩니다. [역학 콘서트]라는 강의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했습니다.
https://www.unistudy.co.kr/vod/vod_chr_view.asp?dom_cd=&sub_cd=&chr_cd=10896
[세 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
전도/대류/복사를 판단하는 것은 쉽습니다. 더 어려운 것은 governing equation을 세우는 것입니다. 워낙 케이스가 다양해서 적절한 모델링을 하는 것이 쉽지는 않으나, 이 내용이 기계과에서 배워야 하는 내용이기에 잘 공부하셔야 할 겁니다. 열전달 문제를 잘 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1. 충분한 연습과 실습: 다양한 열전달 문제들을 해결하면서 문제의 특성을 파악하고, 어떤 열전달 모드가 지배적인지 판단하는 연습을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많은 문제를 풀어보며 감각을 익히게 됩니다.
2. 열전달 기본 개념 이해: 전도, 대류, 복사 각각의 메커니즘과 지배방정식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론적인 배경 지식을 충분히 갖추면 문제 상황을 보고 어떤 열전달 메커니즘이 중요한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3. 문제 상황 분석: 문제를 읽고 분석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물체의 형상, 재질, 경계조건 등을 잘 파악하면 어떤 열전달 메커니즘이 지배적일지 추론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열전달 문제 해결 능력과 열전달 메커니즘 판단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노력과 연습이 필요한 부분이지만, 장기적으로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그냥 제 강의를 꾸준히 들으시면 문제 없이 공부하실 수 있을 겁니다. 감사합니다.
- 2024-09-09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