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NEW)유체역학 퍼펙트 완성] [07-02강] Boundary Layer (Laminar Flow, Momentum Integral) (층류유동 경계층1)/ 운동량 두께의 적분 범위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권준표 |
과목 | 유체역학 | 강좌명 | |
작성자 | 김*일 (h******8) | 등록일 | 2024-06-14 02:38 |
첨부파일 | |||
안녕하십니까 교수님. 강의를 수강 중에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남깁니다.
학교 수업 시간에서는, 운동량 두께의 식을 다음 사진과 같이 0부터 무한대까지 적분 하는 것으로 배웠습니다. 그런데, 교수님의 강의에서는 0부터 교란두께 까지만 적분을 하시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물론 이 둘의 값의 차이가 매우 작을것으로 생각되긴 하는데 교수님께서 델타까지만 적분하신 이유가 따로 있는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답변을 추가로 드리긴 하겠으나, 디스코드로 오시면 직접 이 질문을 하면서 공부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질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적분구간이 무한대라고 해도 계산값에 큰 차이가 없어서 상관은 없습니다.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드리기 위해 boundary x-la에 대한 복습을 먼저 해 봅시다.
[경계층에 대한 복습]
유체역학에서 boundary x-la thickness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1. 평판 경계층:
- 경계층 두께(δ)는 유체 유동의 속도가 자유류 속도(U∞)의 99% 지점까지의 거리를 말합니다.
- 즉, 유체 유동의 속도가 U∞의 1% 지점에서 경계층 두께가 정의됩니다.
2. 원기둥 경계층:
- 원기둥 표면에서 유체 유동의 속도가 자유류 속도(U∞)의 99% 지점까지의 거리가 경계층 두께(δ)입니다.
3. 일반적으로:
- 경계층 두께는 유체의 점성과 유동 조건에 따라 달라집니다.
- 레이놀즈 수가 증가하면 경계층 두께가 감소하고, 점성이 증가하면 두께가 증가합니다.
- 경계층 두께는 유체-고체 표면 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중요한 변수입니다.
따라서 유체역학에서 boundary x-la thickness는 자유류 속도에 대한 특정 지점의 유체 속도 비율을 기준으로 정의되는 개념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
질문에 대한 답변은 다음과 같습니다.
운동량 두께(momentum thickness)의 정의에 대해 두 가지 적분 구간이 사용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0부터 δ까지 적분하는 경우:
- 이는 경계층(boundary x-la) 내에서의 운동량 손실을 고려하는 방식입니다. 경계층 두께 δ는 유동의 속도가 자유류 속도의 99%에 도달하는 지점까지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δ까지 적분함으로써 경계층 내부에서 발생하는 운동량 손실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2. 0부터 무한대까지 적분하는 경우:
- 이 방식은 전체 유동장에서의 운동량 손실을 고려합니다. 경계층 바깥에서는 속도 구배가 거의 없기 때문에, 무한대까지 적분해도 δ 이후의 구간에서는 적분값에 큰 변화가 없습니다. 따라서 전체 유동장에서의 운동량 손실을 계산하기 위해 무한대까지 적분합니다.
두 방식 모두 운동량 손실을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δ까지 적분하는 방식은 경계층 내부의 운동량 손실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무한대까지 적분하는 방식은 전체 유동장에서의 운동량 손실을 고려합니다.
이 사진에서는 무한대까지 적분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운동량 두께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체 유동장에서의 운동량 손실을 계산하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경계층 내부의 운동량 손실에 초점을 맞출 경우에는 δ까지 적분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적분 구간의 선택은 해석하고자 하는 문제의 특성과 관심 영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질문에 대한 충분한 답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2024-06-29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