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학습 Q&A

강의 내용 궁금증! 교수님이 직접 답변 드립니다.

  • 홈
  • 교수소개
  • 공학계열
  • 권준표 교수님
  • 학습 Q&A

Q&A 메뉴.png

※ 유의사항
강의에 나오지 않는 내용에 대한 풀이나 해설은 답변을 드릴 수가 없습니다.
학습과 무관한 내용 및 비방/욕설 등 게시판 성격과 무관한 내용은 사전 고지없이 삭제됩니다.
답변 완료된 게시글은 수정 및 삭제 불가합니다.

kwonjunpyo_03.png

게시판 글보기
제목 답변완료 라플라스 변환 유도 (e^at)
질문유형 강좌내용 교수님 권준표
과목 공학수학 강좌명
작성자 고*석 (q******7) 등록일 2024-05-30 11:11
첨부파일

권준표 교수님,

 

공학수학 10강에 끝내기 수업에 대한 질문입니다.

 

 

 

라플라스 변환 강의에서 교수님이 e^at 의 라플라스 변환 유도를 하실 때,

 

1/(a-s) * e^{-(s-a)t} 의 형태로 유도한 뒤에,

 

이 식이 무한대로 갈 경우는 0, 0으로 갈 경우는 1 이므로,

 

1/(a-s) * (-1) = 1/(s-a) 라며 증명을 마무리 하셨는데요.

 

 

 

 

제가 공학수학 접하는 게 처음이라 왜 이렇게 되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제가 첨부한 파일을 보시면,

 

e^{-(s-a)t} 형태가 무한대로 간다고 하였을 때 반드시 0으로 수렴하지 않고,

 

이는 아시다시피 (s-a)가 양수인지 음수인지, 다른 말로는 s 와 a 사이의 대소 관계에 따라 달라지는 것 같습니다.

 

 

이때, s가 a 보다 작아버리는 순간, t 가 무한대로 갈 때 식도 무한대로 발산하게 되므로,

 

라플라스 변환의 결괏값은 무한대로 계산됩니다.

 

 

이는 교수님과 대학서적에도 써져있듯이 1/(s-a) 로 간단하게 표현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버리더라고요.

 

 

만약 단순히 1/(s-a) 로 표현할 수 있으려면, s=a 일 때를 제외하고는 모두 s 에 대한 값이 존재해야 하나,

 

본 라플라스 계산에선 s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가 어느 부분을 놓치고 있는지 도저히 모르겠습니다.

 

한 번만 도와주세요 ㅠㅠ 

 

#상미분방정식 #라플라스 #라플라스변환 #라플라스변환유도 #지수함수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댓글
0
권*표 교수님

좋은 질문해 주셨습니다.

답변은 총 3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1. 질문에 대한 답변

 

저는 e^(at)의 라플라스 변환을 구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가정을 했습니다. 그 가정은 바로 ``s > a`` 입니다. 이 가정 하에서만 라플라스 변환이 성립합니다.

 

e^(at)의 라플라스 변환을 구하는 과정을 다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L[e^(at)] = ∫[0 → ∞] e^(at) * e^(-st) dt

= ∫[0 → ∞] e^(-(s-a)t) dt

= [-1/(s-a) * e^(-(s-a)t)] [0 → ∞]

= [-1/(s-a) * e^(-(s-a)∞)] - [-1/(s-a) * e^(-(s-a)0)]

= [-1/(s-a) * 0] - [-1/(s-a) * 1] (단, s > a 일 때)

= 0 + 1/(s-a)

= 1/(s-a) (단, s > a 일 때)

 

위 과정에서 ``s > a`` 라는 가정이 중요합니다. 이 가정 하에서만 lim[t → ∞] e^(-(s-a)t) = 0 이 성립합니다. 만약 ``s < a`` 라면, 극한값은 무한대가 되어버리고, 라플라스 변환값이 발산하게 됩니다.

 

따라서, e^(at)의 라플라스 변환은 ``Re(s) > a`` 인 영역에서만 정의되며, 이 영역에서 라플라스 변환값은 1/(s-a)가 됩니다. 이는 라플라스 변환의 수렴 영역(Region of Convergence, ROC)과 관련이 있습니다. ROC는 라플라스 변환값이 수렴하는 s의 범위를 나타냅니다.

 

다시 말하면, 라플라스 변환에 있어서 이러한 가정과 ROC를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라플라스 변환 과정에서 이러한 가정과 ROC를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가정과 ROC를 고려하지 않으면, 질문자님께서 지적하신 것처럼 모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그렇다면 모든 라플라스 변환에서 s > a 인가?

 

그렇지는 않습니다. 라플라스 변환을 할 때는 수렴 영역(Region of Convergence, ROC)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라플라스 변환값이 수렴하려면, 적분이 유한한 값을 가져야 하는데, 이는 적분 구간에서 피적분함수가 수렴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e^(at)의 라플라스 변환을 구할 때, ∫[0 → ∞] e^(at) * e^(-st) dt 형태의 적분을 계산합니다. 이 적분이 수렴하기 위해서는 피적분함수인 e^(-(s-a)t)가 t가 무한대로 갈 때 0으로 수렴해야 합니다. 이는 s > a 일 때만 성립합니다.

 

만약 s ≤ a 이면, e^(-(s-a)t)는 t가 무한대로 갈 때 발산하므로, 적분 값도 발산하게 됩니다. 따라서 e^(at)의 라플라스 변환은 Re(s) > a 인 영역, 즉 s의 실수부가 a보다 큰 영역에서만 수렴하며, 이 영역이 바로 수렴 영역(ROC)입니다.

 

이러한 ROC의 개념은 라플라스 변환을 적용할 때 항상 고려되어야 합니다. 단순히 변환 공식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함수의 성질과 수렴 조건을 파악하여 변환의 유효 범위를 설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e^(at)의 경우 Re(s) > a 가 ROC이므로, 변환 결과인 1/(s-a)는 Re(s) > a 인 영역에서만 의미를 가집니다. 이는 라플라스 변환이 단순히 함수를 다른 형태로 바꾸는 것이 아니라, 함수의 성질을 복소수 영역에서 해석하는 도구임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라플라스 변환을 수행할 때는 변환 자체뿐만 아니라, ROC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ROC는 라플라스 변환값의 수렴성을 보장하고, 변환 결과를 해석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3. 라플라스 변환에서의 수렴 영역을 고려해야 하는 이유

 

라플라스 변환을 할 때 수렴 영역을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라플라스 변환은 적분 연산을 통해 정의되기 때문에, 적분이 수렴하지 않는다면 라플라스 변환을 정의할 수 없습니다.

 

라플라스 변환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F(s) = ∫(0 to ∞) f(t) e^(-st) dt

 

여기서 s는 복소 평면 상의 복소 변수입니다.

 

수렴 영역이란 이 적분이 수렴하는 s의 값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이 수렴 영역은 라플라스 변환의 성질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수렴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라플라스 변환을 정의할 수 없습니다. 즉, 함수 f(t)가 시간 영역에서 정의되어 있다고 해도, 그 함수의 라플라스 변환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함수 f(t)가 다음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하면 라플라스 변환이 존재합니다:

 

f(t)는 구간 [0, ∞)에서 정의되어 있고, 절대 적분 가능하다.

f(t)는 시간 t가 증가함에 따라 지수함수 보다 빨리 감소한다.

 

이 두 조건이 만족되면 라플라스 변환이 존재하고, 수렴 영역도 정의될 수 있습니다.

 

수렴 영역은 일반적으로 복소 평면 상의 한 개 이상의 연속된 구간으로 표현됩니다. 예를 들어, 수렴 영역이 s > a인 경우, 이는 실수부가 a보다 큰 복소 평면의 영역에서 라플라스 변환이 수렴한다는 의미입니다.

 

결론적으로, 라플라스 변환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수렴 영역이 존재해야 하며, 이는 함수 f(t)의 성질에 의해 결정됩니다. 수렴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라플라스 변환을 정의할 수 없습니다.

 

*아마 충분히 질문에 대한 이해가 되셨을 겁니다. 이 모든 내용은 제가 [갓준표 AI]를 통해 얻은 답변입니다. 물론 정확한 질문을 했기 때문에 정확한 답변을 얻을 수 있었죠. 관심 있으시면 직접 사용해 보셔서 언제 어디서나 궁금한 내용을 해결해 보시기 바랍니다. 강의를 수강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2024-06-12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