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전력 표현 재질문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양진목 |
과목 | 회로이론 | 강좌명 | |
작성자 | 이*담 (w******1) | 등록일 | 2019-03-19 17:54 |
첨부파일 | |||
자세한 답변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psc는 전력의 부호와는 무관하고 오직 전압, 전류의 극성, 방향으로만 결정됩니다. 전압, 전류가 psc를 만족할 때 그때 p=vi 값은 이 소자가 흡수하는 전력입니다. 그래서 이때 p=5W가 나왔으면 이 소자는 5와트를 흡수하고 p=-5W가 나왔으면 -5와트는 흡수하는 전력이므로 실제로 이 소자는 5와트를 공급합니다. 결국 핵심은 `전력 값이 양야냐 음이냐는 흡수, 공급과 상관이 없고 오직 v, i의 극성, 방향이 psc를 만족하는지 여부`입니다. 어느 소자의 전압 v, 전류 i에 의하여 전력 p=vi를 구한 경우 이 전력을 해당 소자가 흡수하는 것인지 공급하는 것인지는 v, i가 수동부호규정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즉, v, i가 수동부호규정을 만족하면 p=vi는 이 소자가 흡수하는 전력이므로 이때 p=10W이면 이 소자는 10와트를 흡수하고 -10W이면 -10와트를 흡수하므로 실제로는 10W를 외부로 공급합니다. 만일 v, i가 수동부호규정을 만족하지 않는다면 p=vi는 이 소자가 외부로 공급하는 전력이며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하시면 됩니다. R, L, C 소자의 전압, 전류관계식 v=Ri, v=L*di/dt, i=C*dv/dt는 v, i가 수동부호규정을 만족한다는 전제하에 성립하므로 이들 소자의 v, i를 이용하여 p=vi를 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이는 R, L, C 소자가 외부에서 흡수하는 전력입니다.(자세한 사항은 교재의 수동부호규정파트와 관련 문제를 풀어보시면 됩니다.) 위의 두 답변에의하면 1.13a의 그림에선 극성을 몰라서 수동부호규정 만족여부를 알수가없기때문에 원칙적으로 P=~공급/흡수임에도 그림의 P=-20 을 수동부호규정 만족한다는 전제를하고(두번째 답변에서 일반적으로 그리한다는것에따라) A를+B를-로 수동부호규정 만족하게두고 V를 -4V로 할 수 있는것 아닌가요? 단순히 전압을 구하라는게 문제가 잘못된것 아닌지? 4나 -4나 극성이 반대라 의미는 같지만 단순전압을구하라고 하니 답을 어떻게써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양진목입니다.
첨부한 사진에 나와 있는 것처럼 Irwin 책에서는 전력의 흡수공급을 판단할 때 우선 전압, 전류가 수동부호규정을 만족한다고 전제하고 시작하므로 어느 소자의 전력은 항상 이 소자가 흡수하는 전력입니다. 그래서 그림 a의 정사각형 소자의 전력도 -20W를 흡수한다고 이미 전제하므로 A 단자를 +, B 단자를 -극으로 두었을 때 수동부호규정을 만족하게 됩니다. 이 상태에서 v=-20/5=-4[V]이므로 실제로는 A단자가 -, B단자가 +입니다.(혹시 한글판을 참고하시는 경우 해당 페이지의 앞페이지에 첨부한 사진의 내용에 관한 설명이 있습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안녕히계세요.
- 2019-03-19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