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수동부호규정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양진목 |
과목 | 회로이론 | 강좌명 | |
작성자 | 이*담 (w******1) | 등록일 | 2019-03-17 18:34 |
에서 전류가 +극으로 들어가면 전력계산값을 흡수,소비 한다고 하는데 +짜리가 +극으로 들어가면(실제로- 가 이동하지만) 밀려나면서 회로에 전류공급이 일어날것같은 느낌인데 왜 흡수,소비라고 하는건가요?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양진목입니다.
전류에만 초점을 두면 전류가 +극으로 들어가거나 -극으로 들어가너나 소자에 전류가 공급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전력이 아닌 전류만 고려하고 있는 것과 실질적으로 등가입니다. 전력은 전압, 전류를 모두 고려해야 하는데요 물리적으로 대략 다음과 같이 이해하시면 됩니다. 어느 소자를 극성이 +인 쪽이 올라가 있고 -극인 쪽이 내려가 있는 경사로로 생각하시면 전류는 이 경사로를 내려오는 물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경사를 역행하여 이동하는 것이 아니고 중력의 법칙에 따라 경사를 내려오는 것으로 보면 전류를 이루는 개개의 전하들은 위치에너지가 낮아집니다. 전원의 경우 전류가 주로 -극에서 +극 쪽으로 흐르는데 이 경우 전류는 경사로를 위치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올라가므로 따로 에너지를 가해주어야 이것이 가능합니다. 이 에너지을 전원이 전류에 공급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안녕히계세요.
- 2019-03-18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