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교재 p94 예제 7.1 질문입니다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양진목 |
과목 | 회로이론 | 강좌명 | [회로이론] 노베이스도 이해하는 회로이론 (핵심개념+문제풀이) |
작성자 | 박*의 (k***********************a) | 등록일 | 2025-07-22 14:12 |
안녕하세요! 스위치와 긴시간이라는 조건으로 스위치와 인덕터를 단락시키고 오른쪽 저항을 합성저항으로 10옴까지 간단히 하는건 알겠는데 KVL 쓸 때 왜 0V가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ㅜㅜ 문제 조건에 40옴에 V0라고 한다면 합성저항 10옴의 마디에는 V0가 살아나오지 않나요 왜 바로 0V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양진목입니다.
답변이 늦어져서 대단히 죄송합니다.
1. 단락은 전류는 흐르지만 전압은 0V인 상태입니다.(즉, 저항이 0옴인 상태)
(교재 17p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t=0-에서 인덕터에 걸리는 전압은 0V입니다.
2. 어느 회로의 등가회로를 구할 때는 각 등가회로가 어느 단자 사이의 회로에 대한 등가회로인지를 항상 의식하고 있어야 합니다. 95page 첫 그림에 있는 것처럼 40옴 저항은 10옴 저항과 병렬연결이므로 10옴, 40옴 저항에 vo 전압이걸립니다. 즉, 이 둘의 등가저항 8옴에 걸리는 전압이 vo입니다. 또한 2옴 저항과 등가저항 8옴은 직렬연결이므로 인덕터에 걸리는 전압을 v라 하면 전압분배법칙에 의해 vo=2/(2+8)*v=0.2v의 관계가 있습니다. 즉, vo는 인덕터 전압의 1/5입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안녕히계세요.
- 2025-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