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회로이론] 예제 4.6 / 해설질문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양진목 |
과목 | 회로이론 | 강좌명 | |
작성자 | 김*영 (k*****A) | 등록일 | 2024-03-31 17:23 |
안녕하세요 교수님, 예제 4.6 해설 중 마디 V2에 대한 부분이 이해가 가지 않아 질문 남깁니다. 해설에서는 해당 마디에서 모두 나가는 전류라고 하셨는데, 해당 마디 오른쪽은 나가는 전류가 아닌 들어오는 전류여야 하는 것 아닌지 궁금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양진목입니다.
강의 초반부의 전류, 전압, 전력에 관해 다루는 부분에서 전류를 나타내는 방법이 두가지 있다고 설명드렸는데요
a에서 b로 5A가 흐른다는 것과 b에서 a로 -5A가 흐른다는 것은 회로적으로 같은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살이 5kg 쪘다.`와 `살이 -5kg 빠졌다.`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것과 같이 전기적인 현상을 수학적으로 형식적으로 취급하는 방법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접근할 때의 장점은 실제 전류가 어느 방향에서 어느 방향으로 흐르는지를 알고 나서 식을 세울 필요가 없다는 것인데요
질문하신 문제에서 v2 마디에서 모든 전류가 나가는 방향으로 잡고 식을 세우면 KCL(어느 마디에서 유출하는 총 전류의 합은 0이다.)에 의해
iΔ+(v2-50iΔ)/250+v2/400+(v2+128)/500=0
이고
500옴 저항 전류가 v2 마디로 들어오는 방향으로 잡으면 KCL(어느 마디에서 유출하는 전류의 합과 유입하는 전류의 합은 같다.)
iΔ+(v2-50iΔ)/250+v2/400=(-128-v2)/500
인데 위 두 식은 수학적으로 같습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안녕히계세요.
- 2024-04-01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