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구조가 잡히는 일반화학1] 10장 액체와 고체(4~6) 42분 02초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조성민 |
과목 | 일반화학 | 강좌명 | |
작성자 | 김*길 (c******e) | 등록일 | 2023-03-10 00:42 |
구성 이온의 크기에 따라 사면체 혹은 팔면체 홀에 이온을 배치해야 하는 거라고 이해하면 되는지요? 즉 이 부분은 개별 결합된 이온의 종류에 따라(그때 그때) 달라질 수 있는 것이라 암기의 영역이라고 보면 되는지요 대표적인 예로 ZnS, NaCl 정도만 알고 있으면 되는 것인지요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조*민
교수님
네. 일반화학에서는 무기화학에서와 같이 세부적인 경향을 다루지는 않습니다.
홀의 크기가 다르므로 이온의 반지름에 따라 다른 결정을 갖는게 일반화학에서의 개념이 맞네요.
그러므로 황화아연과 염화소듐의 구조 정도를 구분하는 게 중요합니다.^^
- 2023-03-15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