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고체역학 plane strain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권준표 |
과목 | 고체역학 | 강좌명 | |
작성자 | 유*휴 (c*****3) | 등록일 | 2023-02-06 21:14 |
첨부파일 | |||
#고체역학 #plane strain #2축
안녕하세요 교수님
실전강의에 plane strain 파트를 듣고 이해가 가지 않는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첫번째로 변환된 축인 x1 이 theta에 따라서 바뀌므로 사진첨부 한 것과 같이 theta가 작으면 알파값이 음수가 나올수도 있고 그에따라 y1방향 변형길이도 다르게 나오는데 교수님께서 증명하실땐 x1축이 항상 위인 즉 알파값이 양수가 되도록 설정하였는데 이부분이 이해가 안됩니다..
두번째로 변형된길이를 입실론x dx 라고 뒀는데 포아송비를 고려하지 않고 그냥 사용해도 되는지 이유가 궁금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첫 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
두 번째 그린 그림이 이상합니다.
x1축은 dx와 dy 사각형 요소의 대각선 방향으로 정의되고,
x축 방향으로의 normal strain이 작용했을 때
변형된 요소의 대각선 방향으로 점선이 생깁니다.
이 점선과 x1 사이의 각도를 ɑ라고 정의한 것입니다.
따라서 양수의 normal strain이 작용하면
당연히 x1 아래에 점선이 위치할 수밖에 없습니다.
음수의 normal strain이 작용하면
이에 따른 부호가 식에 반영되기 때문에 상관이 없습니다.
[두 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
Plane의 x, y축에 작용하는 strain을 이용해서 식을 구하고 있는 과정입니다.
요소에 발생한 strain을 가지고 유도를 하는 것이기에
여기에 추가적으로 포아송비를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stress의 개념과 혹시 헷갈리시는 건 아닌지 확인해보세요.)
- 2023-02-07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