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학습 Q&A

강의 내용 궁금증! 교수님이 직접 답변 드립니다.

  • 홈
  • 커뮤니티
  • 학습 Q&A
  • 학습 Q&A

Q&A 메뉴.png

※ 유의사항
강의에 나오지 않는 내용에 대한 풀이나 해설은 답변을 드릴 수가 없습니다.
학습과 무관한 내용 및 비방/욕설 등 게시판 성격과 무관한 내용은 사전 고지없이 삭제됩니다.
답변 완료된 게시글은 수정 및 삭제 불가합니다.

게시판 글보기
제목 답변완료 [일반물리학] 할리데이 일반물리학 1 장력
질문유형 강좌내용 교수님 이정욱
과목 일반물리학 강좌명
작성자 박*현 (p********7) 등록일 2023-01-23 22:28
첨부파일

회전 역학 문제들을 풀다 보면서 장력에 대해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많습니다. 먼저 저는 장력을 다음과 같이 이해하고 있습니다. 실이 직선으로 팽팽할 때는 실의 모든 부분에서 장력은 같습니다. 실의 질량을 (대부분 경우에) 0으로 취급하기에 모든 부분에서 실의 합력은 0이 되어야하기 때문입니다. (제가 이해한 바를 명확히 전달 못 할 수도 있을 것 같아 위키 백과 사진을 첨부합니다.)

 

1. 도르래

하지만 위의 논의를 도르래에 감긴 줄에도 적용할 수 있을까?’라고 의문이 듭니다. 앞의 논의에서는 실이 직선으로 팽팽하다고 전제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도르래에 감긴 줄에서 어떻게 장력이 작용하는지 궁금합니다. (인터넷에서 검색해보면 실의 일부분을 아주 확대해보면 거의 직선에 가까우니 도르래에 감긴 줄의 모든 지점에서 장력은 같다고 말합니다. 저는 이게 말이 안 되는 주장이라고 생각합니다. 줄의 형태가 원으로 바뀌었으니 분명 장력의 양상이 달라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 힘의 작용점

32:10에서 장력이 왜 도르래한테 작용하는 것인가요? 장력은 줄 안에서 또는 줄과 연결된 물체에 작용할 수 있는 힘인데 장력이 도르래에게 힘을 작용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 아닌가요? 그리고 설사 장력이 도르래에게 힘을 작용할 수 있다면 작용 반작용 법칙에 의해 도르래도 줄에게 힘을 주어야 하는데 문제 풀이에는 그러한 언급이 없습니다.

 

 

질문이 많아서 죄송합니다(그래도 항상 자세하고 친절한 답변을 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하지만 몇 시간씩 고민해보다도 인터넷을 찾아보아도 속시원답이 없어서 질문 드립니다.(장력이 정말 어려운 개념인 것 같습니다...ㅠㅠ)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댓글
0
이*욱 교수님

방학중이라..답변이 늦어진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줄을 역학적으로 모델링을 할 때, 관성에 관여하는 질량 / 순수하게 힘을 전달하는 질량이 없는 줄 

두 부분으로 나눠 해석을 합니다. 

 

질량이 M 인 물체와 m인(밀도가 균일한)줄을 연결하였을 때, 줄과 물체를 당기는 줄의 위치에 따라 장력의 크기가 달라지는 것이 맞습니다.

그런데, 만약 물체의 질량이 줄의 질량에 비해 매우 크다면 M>>m 인 경우, 줄 내부의 모든 지점에서의 장력은 외력과 크기가 동일해 지게 됩니다. 이는 곧, 거시적 관점에서 줄 내부의 힘은 모두 소거됩니다.

줄 내부의 힘이 모두 소거되고, 줄의 가장 끝부분에 연결된 부분과의 힘만 남게 됩니다. 이는 그림을 그려보면 바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도르래를 감고 있는 줄에 대해서는 두 가지 모델링이 가능합니다.

우선, 도르래와 줄 사이에 마찰이 없는 경우에는...-■-■ -■ -■ -■ - ....와 같이 줄을 모델링 하고, 이를 도르래에 감았다고 가정해보죠.

그럼, 줄의 장력은 도르래의 접선 방향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도르래와 줄 사이의 마찰이 없다면, 도르래의 회전이 발생하지 않고, 줄을 구성하는 입자들의 자리 이동만 가능한 상황입니다. 여기서 질량을 무시한다면, 여전히 모든 지점에 대해 접선방향의 힘들은 소거되어야 하므로, 모든 지점에서의 장력은 모두 동일하고, 줄의 끝 부분에 의한 힘만 남게 됩니다.

 

마찰이 있는 경우는 사실 조금 복잡한 모델링이 적용되는데, 장력이 도르래에 대한 각에 따라 ...즉 줄 요소의 각위치에 따라 장력이 변합니다. 대략...Texp(μθ) 형태를 띠게 되는데, 만약 각이 매우 작다고 가정하면 급수전개에 의한 결과로 T에 아주 가까워 지게 되는 것입니다.

 

2. 두 번째, 질문은 앞선 질문에 대한 답으로 대체할 수 있을 듯 합니다.^^

 

 

 

 

  • 2023-02-03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