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학습 Q&A

강의 내용 궁금증! 교수님이 직접 답변 드립니다.

  • 홈
  • 커뮤니티
  • 학습 Q&A
  • 학습 Q&A

Q&A 메뉴.png

※ 유의사항
강의에 나오지 않는 내용에 대한 풀이나 해설은 답변을 드릴 수가 없습니다.
학습과 무관한 내용 및 비방/욕설 등 게시판 성격과 무관한 내용은 사전 고지없이 삭제됩니다.
답변 완료된 게시글은 수정 및 삭제 불가합니다.

게시판 글보기
제목 답변완료 동역학 한방에 끝내기 38강
질문유형 강좌내용 교수님 권준표
과목 동역학 강좌명
작성자 정*상 (f*****4) 등록일 2023-01-02 23:35
첨부파일

#동역학 #강체 #에너지 보존 법칙 #스프링

 

안녕하십니까 교수님! 동역학 한방에 끝내기 38강 수강중에 질문이 있어 이렇게 올렸습니다.

 

새끼문제 b의 T3를 구하는 과정에서 교수님께서 A점을 기준으로 해석한 이유를 반복해서 들어도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아서 이렇게 질문 드립니다. 또한 v3 = 0이라고 보아서 (1/2)m(v3)^2을 0으로 놓으셨는데 그렇다면 도대체 이 v3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이며 v_B와 무엇이 다른지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알기로 v bar는 도심에서의 속도인데 B가 도심이므로 v_B = v3가 아닌가요?

 

바쁘신 와중에도 질문 받아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댓글
0
권*표 교수님

안녕하세요.

책에 나오는 기호를 그대로 사용하다보니
조금 헷갈릴 수도 있었을 것 같습니다.

강의에서 설명한 것처럼
- T는 kinetic energy (translational or rotational 운동에너지)
- V는 potential energy (위치에너지 또는 용수철의 탄성에너지)
를 의미합니다.

정지한 상태에서 release되기 때문에
T1 = 0
높이를 갖고 있기에 V1 = 80 lb*ft 의 값을 갖게 됩니다.

바닥에 떨어지면
각도는 90가 되는데
이 때 속도는 없지만
막대의 길이 때문에 용수철이 눌리게 됩니다.

바닥에 떨어진 상태에서의
위치에너지는 0이지만
용수철 탄성에너지가 있기에
V3 = 45 lb*ft 가 되고

운동에너지의 경우
바닥에 떨어져서
도심에서의 translational velocity는 없지만
회전관성에 의한 회전운동에너지가 남아 있기에
T3 = 0.828*v_B^2 가 됩니다.

질문에서 여쭤보신 V3이란
potential energy로
- Vg_3은 막대의 도심에서의 위치에너지
- Ve는 용수철의 탄성에너지
를 의미합니다.

V라는 기호 때문에
속도로 헷갈릴 수도 있었을 것 같습니다.

책에서는 U라는 기호를
work로 사용하고 있어서
어쩔 수없이 V라는 기호를
책에서 추천한대로 사용했는데
너그러이 양해 부탁드립니다.

질문에 대한 답이 됐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Screenshot-2023-01-18-at-7.02.55-AM.png 

  • 2023-01-18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