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일반화학 핵심이론 단기완성] 13-3. 15장 완충용액 05:38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윤기세 |
과목 | 일반화학 | 강좌명 | |
작성자 | 김*길 (c******e) | 등록일 | 2022-12-21 18:12 |
직전 강의에서 NaF가 수용액 속에서 이온화되어 나오는 F- 가 강염기로 작용해서 (F-) + (H2O) -> (HF) + (OH-) 가 되는 걸로 배웠는데 이 강에서는 F- 가 물과 반응하는 것이 배제된 채 1M F- 를 온전히 계산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또한 발생하는 OH- 가 pH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 같아서요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관*자
안녕하세요? 윤기세 입니다.
아! 무슨 질문인지 알겠습니다.
어떠한 수용액에서 전해질 또는 용질이
수용액 안에서 평형을 이루었을때의 농도를 가지고
해리상수 또는 이온화 상수를 만들었습니다.
잘 녹을수록, 이온화가 잘 될수록 숫자가 높아집니다.
해당 강의에서 이 Ka 값을 가지고 계산하였으니,
OH의 영향이 이미 반영되어 있는 것 입니다.
예를 들어
OH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잘 안 녹으면
Ka 값이 작아질 터이니,
계산에 OH의 영향이 반영되는 것 입니다.
한마다로, 이미 Ka 값을 알고 있어서 입니다.
- 2022-12-22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