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학습 Q&A

강의 내용 궁금증! 교수님이 직접 답변 드립니다.

  • 홈
  • 커뮤니티
  • 학습 Q&A
  • 학습 Q&A

Q&A 메뉴.png

※ 유의사항
강의에 나오지 않는 내용에 대한 풀이나 해설은 답변을 드릴 수가 없습니다.
학습과 무관한 내용 및 비방/욕설 등 게시판 성격과 무관한 내용은 사전 고지없이 삭제됩니다.
답변 완료된 게시글은 수정 및 삭제 불가합니다.

게시판 글보기
제목 답변완료 [고체역학] 3대역학 한방에 끝내기 - 19강 보의 처짐과 각도 연습문제, 40분 48초 부분 각도 관련해서 질문있습니다.
질문유형 강좌내용 교수님 권준표
과목 고체역학 강좌명
작성자 정*용 (w********9) 등록일 2022-12-10 15:29
첨부파일

#세타값 #세타값이 같은 이유 #연속체

 

하중 P를 받는 지점을 D라고 할때, 교수님께서 AD구간에서의 세타값과 DB구간에서의 세타값이 연속체이기 때문에 같다고 하셨습니다. 저는 만약 a와 b의 길이가 같다면 당연히 서로의 각도가 같다고 생각하는데, a와 b의 길이가 다르다면 각도가 다르게 나올수도 잇다고 생각했어서 혹시 이 부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댓글
0
권*표 교수님

학생분께서 D라고 하신 것을 저는 C로 표기해서 설명하겠습니다.

a와 b의 길이가 같다면
simple beam이 대칭이 되기 때문에
중심에서의 각도는 같습니다.

학생분께서 헷갈리시는 것은
boundary condition을 설정할 때
C1=C2의 결과를 내는 과정이신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 과정에서
x=a를 넣었을 때
각도가 같다는 것이
왼쪽과 오른쪽의 각도가 같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AC구간과 BC구간으로 식을 나눠서 계산했기 때문에
AC구간에서의 식을 넣든
BC구간에서의 식을 넣든
C점에서의 각도는 같은 값으로 나올 것이라는 겁니다.

그래서 우리는 C1=C2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이죠.

제가 언급한 각도가
왼쪽과 오른쪽의 각도로 순간 헷갈리셔서 생긴 문제입니다.

아래의 그림을 보시면서 다시 문제를 풀어보시길 바랍니다.

질문에 대한 답이 됐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Screenshot-2022-12-23-at-12.24.13-PM.png 

  • 2022-12-23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