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일반물리학1 23강 강체의 평형 5분 17초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이정욱 |
과목 | 일반물리학 | 강좌명 | |
작성자 | 손*범 (t********3) | 등록일 | 2022-11-23 14:17 |
고생 많으십니다.
시스템에서 외력의 합이 0이면 질량중심의 가속도가 0이므로 질량 중심이 평형 상태라고 하셨습니다. 하지만 외력의 합이 0이고 그에 따라 질량중심이 평형 상태라고 할 지 언정 강체 자체가 완전한 평형이라고 하기에는 부족하다고 하셨는데 그 예시로 자동차 운전대를 설명하셨습니다.(짝힘에 의해서 시스템이 받는 전체 합력은 0이므로 질량중심은 평형상태이지만, 짝힘을 받는 두 작용점은 원운동을 하므로)
강의 내용을 이렇게 이해했는데 제가 제대로 이해한게 맞나요?
감사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네~ 맞습니다. 아주 잘 이해하고 계십니다.^^
아주 엄밀하게는 토크라는 개념이 없이도, 힘의 유효작용점 개념을 이용해서..평형을 설명할 수 있지만, 조금 복잡합니다.
그래서, 간편한 힘의 모멘트(토크)를 정의해서 간단히 설명하는 것이지요.
질점과 달리 강체는 질량의 분포를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힘의 분포도 고려해야 하는 것이지요.
그래서, 강체의 운동을 질량중심의 운동 + 질량중심에 대한 운동 으로 나눠 해석하듯이..
평형상태도 질량중심의 평형 + 질량중심에 대한 평형 으로 나눠 해석하면 편리합니다.
위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할 때, 역학적 평형 상태라고 할 수 있는 것이지요. 만약 둘 줄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으면 평형상태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 2022-11-23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