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학습 Q&A

강의 내용 궁금증! 교수님이 직접 답변 드립니다.

  • 홈
  • 커뮤니티
  • 학습 Q&A
  • 학습 Q&A

Q&A 메뉴.png

※ 유의사항
강의에 나오지 않는 내용에 대한 풀이나 해설은 답변을 드릴 수가 없습니다.
학습과 무관한 내용 및 비방/욕설 등 게시판 성격과 무관한 내용은 사전 고지없이 삭제됩니다.
답변 완료된 게시글은 수정 및 삭제 불가합니다.

게시판 글보기
제목 답변완료 [질문] 노동에 대한 수요탄력성 크기
질문유형 강좌내용 교수님 장선구
과목 강좌명
작성자 강*정 (t*******8) 등록일 2022-10-12 22:06

안녕하세요 교수님 강의 잘 듣던 중 학습내용 문의드립니다. 

 

Q. 노동 대한 수요탄력성은 한계생산이 빠르게 체감할수록 탄력성이 더 작다

 

1. 탄력성은 민감하게 반응하는 정도라고 이해했습니다.

2. 기업의 기준에서 노동자를 추가 투입했을 시 한계생각이 체감하게 된다면 쉽게 타인원으로 대체하거나 수요를 감소시키는 것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3. 따라서 한계생각이 체감하게 되면 탄력성이 커진다? 고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강의하신 내용과 제가 이해한 것이 달라서 어렵습니다 .ㅠㅠ

어떤 부분을 제가 착각하고 있을 걸까요? 

수업중에 그래프의 한계생산이 가팔라지면 탄력성이 작아진 건 이해가 된 것같습니다만... 위 내용은 이해가 안되네요 ㅠ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댓글
0
관*자

안녕하세요. 유니스터디 담당자입니다.

장선구 교수님의 답변 남겨드립니다.

 

노동수요의 임금탄력성을 의미할 때 노동수요곡선에서 한계생산이 빠르게 체감하게 되면 노동수욕곡선이 가파르게 된다는 (기울기가 커지니깐)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말씀하신 것은 대체가능성까지 고려한 대체탄력성으로 보시면 됩니다. 물론 노동수요의 임금탄력성과도 관련은 있긴하지만 너무 나가시게 된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한계생산이 빠르게 체감한다고 해서 다른 대체수단이 없게 되면 그때는 기업도 어찌 대응할 수 없게 되는 것지요. 공부하는데 성과가 잘 안난다고 할때 다른 일을 해야지 혹은 다른 시험준비를 해야지 할때 대체가능성이 높은지 낮은지는 알 수 없는 것입니다. 잘 보고 계신데 너무 나간 생각입니다. 잘 하고 계십니다. 계속 화팅해주세요~ 

  • 2022-11-11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