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유기화학 기초] 10강 HOMO-LUMO상호작용. 30:18. Bond length와 homo-lumo간격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김태호 |
과목 | 유기화학 | 강좌명 | |
작성자 | 김*길 (c******e) | 등록일 | 2022-09-30 21:02 |
Bond Length가 길어질 수록 homo-lumo간격이 좁아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은 C-X 일때와 같이 예외적인 경우에 그런것인지요? 앞서 p character나 EN에 따른 경향성에서는 bonding length가 작아지든 커지든 HOMO, LUMO 모두 동일하게 커지거나 낮아지는데 간격이 좁아지지 않을 것 같아서요. 특히 EN설명하실 땐 EN이 커지면 모든 MO가 낮아진다고 판서하셔서요. 할라이드 원소만 이런 경향을 보이는 것인지, 예를 들어 C-O, C-S 같이 주기가 커지면(bond length가 길어지면) 할라이드 계열이 아니더라도 HOMO-LUMO gap이 커질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추가로 탄소 이중결합과 삼중결합 중 이중결합이 더 전자쌍을 받기 쉽다고 하셨는데,삼중 결합 중 하나를 끊어 이중결합이 되어 나오는 에너지 측면에서 같은 경향이라고 볼 수 있는지요? 즉 이중결합에서 하나의 파이결합을 끊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삼중결합에서 하나의 파이결합을 끊는데 필요한 에너지보다 작다고 보아야 이중결합이 전자쌍을 더 잘 받는다고 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노베이스라 질문이 틀렸을 수도 있는 점 미리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ㅜㅜ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김태호 입니다.
와~ 질문 수준을 보니, 노베이스가 아니신 것 같습니다.
Bond Length가 길어질 수록 homo-lumo간격이 좁아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에 대한 예시로,
C-X 화합물을 예시로 드렸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것은 "homo-lumo 간격" 입니다.
C-O, C-S 도 찾아보시면, "homo-lumo 간격"이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변수들도 고려된다면 매우 복잡해 집니다.
두번째 질문에 답을 드리자면,
모든 이중결합이 삼중결합보다 전자쌍을 받기 쉽다고 이해해선 안됩니다.
분자마다, 상황에 따라 달라지니까요.
말씀하신 것이 모두 맞습니다.
삼중결합이 더 안정적이니,
같은 조건이라면 이중결합을 끊기가 더 쉬워질 것 입니다.
- 2022-10-04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