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일반물리학] Serway 대학 물리학 2 7강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이정욱 |
과목 | 일반물리학 | 강좌명 | |
작성자 | 박*현 (p********7) | 등록일 | 2022-04-03 15:42 |
질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항상 친절한 답변 정말 너무 감사드립니다!!
1. 주로 전자가 이동하는 것으로 생각해왔는데 실제로 전기 회로에서는 28:29에서 설명해주신 것처럼 전자가 이동하는 것인가요? 2. 31: 12에서 (+)전하가 들어올 때 판에 저장되어 있는 (+)의 전하의 반발력도 받지만 반대편의 판에서의 (-)전하의 인력도 고려해야 하지 않나요?
3. 34:19에서 스위치가 놓아도 축전기의 저장된 전하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판과 연결되어 있는 도선으로도 전하가 이동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이 들어서 질문 드립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우선 개인적인 사정으로 답변이 늦은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1. 네, 전류의 정의가 `전자의 흐름`이 아니라 `전하의 흐름`입니다. 즉 성질의 흐름이지요! 조금 더 상세한 내용은 `전류와. 저항`단원에서 다루게 됩니다.
*(+) 전하의 흐름과 (-) 전하의 흐름의 효과는 동일한데, 이중 성질이 아니라 입자는 (-)전하의 성질을 띤 입자가 이동하는 것이고, 이 입자가 바로 전자인 것입니다.
2. 네, 맞습니다 . 그 부분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그와 같은 방식으로 통해 힘으로 계산하기에는 그 과정이 복잡합니다. 그래서, 축전기에서는 에너지를 통한 이해를 기반으로 합니다.
3. 스위치 연결을 끊게 되면 (+) 극판과 그 극판을 연결한 도선끼리는 전위가 동일하게 되고, (-)극판과 연결한 도선도 (-)판과 동일한 등전위가 형성됩니다. 그래서, 도선 내부가 정전기적 평형상태에 도달하게 된 후이므로 전하의 이동은 없다고 할 수 있는데..
힘으로 설명하자면..복잡하지만. 한 극판내의 전하에 대해 인접한 전하에 의한 척력과 맞은편의 반대전하에 의한 인력에 의해 평형을 이룬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사실 이와 같은 설명은 불완전하기에 가급적 표현하지 않은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만 질문하신 내용이..모두 에너지가 아니라 힘의 개념에 기반한 질문이라 이렇게 답변드립니다.
- 2022-04-14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