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일반물리학] Serway 대학 물리학 2 3강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이정욱 |
과목 | 일반물리학 | 강좌명 | |
작성자 | 박*현 (p********7) | 등록일 | 2022-03-19 22:34 |
예제 23.3에서 x가 R보다 큰 경우, 분모의 (x^2+R^2)^(1/2)에서 R을 무시하면 E=0이 나오게 됩니다. 선생님께서는 x가 R보다 클 때 점전하에 의한 전기장과 동일하게 나온다고 하셨는데 그러면 제 생각에서 어디가 틀렸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박*현
네~~ 고민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학습이 이뤄지기에 많이 격려 하고 싶네요.^^
좋은 질문입니다.
질문한 내용에서 `R을 무시한다?` 이 부분이 문제가 됩니다.
즉 위와 같이 질문을 하게 되면~ R에 관계없이...측정하는 위치 x가 실제로 무한히 멀리 떨어진 지점이라고 한 것이지요~ 그럼...점전하로 간주할 수 있는 지점보다 ...더 멀리서 측정한 것이기에 전기장 결과는. "0" 이 되겠지요!!
점전하 사이의 거리가 무한히 멀리 떨어져 있으면..."0이 되는 것처럼요~~
그래서, 중요한 것은 x가....R에 비해 매우 크다면...이 중요합니다.
이는 R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R/X) 라는 두 수의 비율이 1보다 매우 작다고 하는 것입니다. 즉 비교대상이 있는 것이지요~
저 비율을 이용하여 이항정리를 적용하면 점전하와 같은 결과를 얻습니다.^^
- 2022-03-22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