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산화수 질문 | ||
---|---|---|---|
질문유형 | 기타 | 교수님 | 조성민 |
과목 | 일반화학 | 강좌명 | |
작성자 | 오*경 (s******8) | 등록일 | 2022-02-03 14:33 |
Q1)과산화수소 h2o2는 약산성의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 이온전하를 비교했을때 h(+1)2개 o(-2)2개 더했을떄 0이 나오지않으므로 전기적 중성이아닌 약산성의 성질을 가지는 것이 맞는건가요???
Q2)또하나의 의문점은 중성분자에서 산화수의 합은 0으로 구해야한다는 것을 봤습니다 h2o2 과산화수소는 중성분자가아닌 약산성인데도 불구하고 산화수 규칙에 적용했을때 산화수의 합이 왜 0이되어야 하는건가요ㅕ?? 또다른 자료에서는 화합물의 산화수의 합은 0이라 나와있는데 어떤것이 맞는거죠??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1. 과산화수소는 물과 비교했을 때, 양성자(수소양이온)를 더 많이 내놓을 수 있습니다.(전기음성도가 큰 산소의 유발효과 - 나중에 다룸^^;;) 즉, 산소의 산화수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참고로 물의 pKa = 15.7 (pKw = 14) 이지만, 과산화수소의 pKa = 12 정도 됩니다. (역시 산염기에서 다시 다룹니다.)
2. 산염기와 산화수의 구분은 같지 않습니다.
(협의의 의미이지만)산 염기는 양성자의 이동을 다루며, 산화수의 변동이 없으므로, 산화환원 반응이 아닙니다.
그에 비해 산화환원 반응은 반드시 산화수가 변해야 하죠.^^
중성 분자의 산화수의 합은 반드시 Ɔ`이 됩니다. 맞습니다.
- 2022-02-03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