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희석반응 관해서 질문입니다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조성민 |
과목 | 일반화학 | 강좌명 | |
작성자 | 오*경 (s******8) | 등록일 | 2022-02-03 02:36 |
첨부파일 | |||
(저의 풀이) naoh몰농도를 구하기위해 khp에 대해 알아보니 naoh와 khp는 1대1로 반응하고 있으니 결국 naoh와 khp의 몰수는 같겠구나 따라서 부피가제공되어있으니 naoh부피xnaoh몰농도 (naoh몰수) = khp 몰수 (1.3009g/204.22g/mol) C(NAOH)의 몰농도는 값을 구한결과 0.1546M이 나왔고 문제에서 또한 수산화 소듐에 대한 몰농도를 구하라고하니 여기서 마무리 지어도 되겠구나 생각했어요.
Q1)선생님께서 n(oh-)과 n(h+)의 몰수가 같아야 중화반응이 일어난다고 하셨는데 이부분이 전 이해가 안되고 수산화이온몰수랑 수소이온몰수를 비교하시는것 또한 이해가 안돕니다 ㅠㅠ 반응식이 산과 염기를 반응시켜 염기와 물을 생성했으니 중화반응이다라는 걸 인지하고 그냥 단순히 알짜반응식을 보면 수소이온과 수산화이온이 반응하니 이온끼리의 몰수를 비교하신건가요????
Q2)또한 적정실험인(중화반응식)인데도 불구하고 희석(diluting) 법칙인 묽기전의 용액몰수= 묽은뒤 용액물수 법칙(C1V1=C2V2)을 이용하신지 궁금합니다... 비교대상도이 수소이온과 수산화이온 인데 묽기전용액과 묽은뒤의 용액 을 비교하는 희석법칙을 적용했는지가 넘 궁금합니다...
항상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 긴 질문이지만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__)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1. 결론적으로 둘다 맞습니다. 중화 반응은 원칙적으로 산의 수소 이온 개수와 염기의 수산화 이온의 개수가 같을 때, 중화점에 도달하게 됩니다.
또한, 제시한 산, 염기는 둘다 1가이기 때문에(H+나 OH- 를 각각 하나씩 제공한다.) 제시된 산염기의 양(mol)이 같아질 때, 중화점에 도달합니다.
2. 희석이 되었건, 농축을 시키건, 용질의 양(몰)은 일정하기에, 기준으로 볼 수 있습니다.
- 2022-02-03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