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학습 Q&A

강의 내용 궁금증! 교수님이 직접 답변 드립니다.

  • 홈
  • 커뮤니티
  • 학습 Q&A
  • 학습 Q&A

Q&A 메뉴.png

※ 유의사항
강의에 나오지 않는 내용에 대한 풀이나 해설은 답변을 드릴 수가 없습니다.
학습과 무관한 내용 및 비방/욕설 등 게시판 성격과 무관한 내용은 사전 고지없이 삭제됩니다.
답변 완료된 게시글은 수정 및 삭제 불가합니다.

게시판 글보기
제목 답변완료 14강 회전
질문유형 강좌내용 교수님 김대희
과목 일반물리학 강좌명
작성자 이*기 (l****6) 등록일 2021-01-25 18:18

1. 각속도와 각속력은 반시계면 +, 시계면 -로 잡는 방향만 있고 벡터의 개념이 아니라 크기의 개념이니 구분할 필요없이 둘중 아무거나 사용해도 상관없다는 것인가요?

 

 

2. 접선 가속도 a(아랫첨자 t) = 접선 성분을 구하는 과정에서 a = dv/dt에서 v가 선속력이니까 a 는 가속도가 아니라 가속도의 크기가 되고 그것을 접선 가속도( 접선 성분)이라고 부르는 건가요? ---강의 43분~44분

 구심가속도의 크기를 v의 제곱/r로 정의했으니 결국 크기니까 지름성분이라고 부르는 것인가요?

(성분자체는 크기를 말하는 것이니까)

 

 

3. 지름성분 벡터과 접선성분벡터(각가속도가 0이 아닌이상 존재)을 합치면 회전하는물체의 가속도벡터가 되는 것이죠?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댓글
0
관*자

 

1. 각속도와 각속력은 반시계면 +, 시계면 -로 잡는 방향만 있고 벡터의 개념이 아니라 크기의 개념이니 구분할 필요없이 둘중 아무거나 사용해도 상관없다는 것인가요?

 

=> 엄밀히 말해서 이렇게 이해하면 안됩니다.

속도는 벡터, 속력은 스칼라 이렇게 생각하면 안됩니다.

 

속력은 방향에 상관없이 총 이동한 거리를 시간으로 나눈 값이고,

속도는 방향을 고려해서, 이동변위를 시간으로 나눈 값 입니다.

 

이동거리와 이동변위를 구분해 주세요.

 

 

 

2. 접선 가속도 a(아랫첨자 t) = 접선 성분을 구하는 과정에서

 

a = dv/dt에서 v가 선속력이니까

a 는 가속도가 아니라 가속도의 크기가 되고

그것을 접선 가속도( 접선 성분)이라고 부르는 건가요? ---강의 43분~44분

 

구심가속도의 크기를 v의 제곱/r로 정의했으니 결국 크기니까 지름성분이라고 부르는 것인가요?

(성분자체는 크기를 말하는 것이니까)

 

 

=> 무슨 말인지 모르겠습니다.

왜 미분을 하면 크기가 된다고 생각하는지?

구심가속도는 아래 블로그에서 잘 적어두었으니, 한 번 찾아보세요~

https://m.blog.naver.com/at3650/40204606260

 

 

 

3. 지름성분 벡터과 접선성분벡터(각가속도가 0이 아닌이상 존재)을 합치면 회전하는물체의 가속도벡터가 되는 것이죠?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 무슨 말인지 모르겠습니다.

그러니까.. 혹시..

고등학교 때 배운 것, 왜 원운동이 되는가~

그러니까.. 어떤 물체를 실이 당기고, 물체가 앞으로 가려는데,

이테 힘의 벡터합이 그러니까 이제 원운동한다~ 이때의 기억을 말하고 있는 건지요?

 

그러니까 접선가속도와 법선가속도를 보고

힙의 합력을 생각한 건가요?

 

흠... 일단 맞는데..

 

회전하는물체의 가속도벡터라는 말은 없습니다.

 

 

정확한 명칭은 회전가속도 입니다.

 

아래 사이트에서 살펴보세요~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m_temp1=6175 

  • 2021-01-26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