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교수님 질문이 있습니다.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권준표 |
과목 | 고체역학 | 강좌명 | |
작성자 | 오*호 (d******4) | 등록일 | 2021-01-20 13:45 |
첨부파일 | |||
1.stress-strain curve 에서 응력은 변하지만 하중은 항상 일정한가요?
2.소성구간은 A-C까지로 알고 있는데 강의 34:40초쯤에는 B-C로 말씀하시는데 A-C가 맞는거죠?
3.A-B 구간도 하중이 제거되면 원래길이로 못돌아오고 변형이 되는구간이 맞는거죠?
4.A-B 구간과 B-C의 구간의 차이점은 뭔가요?
5.마지막 질문은 첨부파일을 첨가했습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첫 번째 질문]
Tensile Test를 하는 데에 있어서
*시뮬레이션의 경우 보통 2가지 방법
1) constant velocity
2) constant force
으로 진행하고,
*실제 실험을 할 때에는
constant velocity로 실험합니다.
때문에 일정한 변형률을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하중이 바뀌게 되고
단면적을 일정하게 두는
engineering stress 역시 바뀌게 됩니다.
단면적이 매번 바뀌는 경우로 계산되는
true stress의 경우에도
변형량에 따라서 값이 바뀔 것입니다.
[두 번째 질문]
소성(Plasticity)이라 하면,
yield point (항복점, B) 이후로 지정하는데
여기서 A는 탄성한계를 나타내므로
B부터 소성구간이라고 말씀드린 것입니다.
그러나 탄성한계나 항복점이 거의 비슷하므로
어떤 구간이라고 얘기해도
큰 문제는 없을 것입니다.
[세 번째 질문]
소성구간에 진입하게 되면
plastic deformation이 일어나서
영구변형이 일어납니다.
[네 번째 & 다섯 번째 질문]
두 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해결되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탄성한계를 굳이 설명드리기 위해
탄성한계인 A와
항복점인 B를
나누었음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여섯 번째 질문]
Engineering Stress와
True Stress에 대한 개념을 아셔야 하겠습니다.
(한방에 끝내기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아래의 무료 강의를 참고해주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https://youtu.be/IgJsJS2dTSQ
- 2021-01-25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