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산성도 판별기준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윤기세 |
과목 | 유기화학 | 강좌명 | |
작성자 | 유*정 (t*******6) | 등록일 | 2021-01-19 14:11 |
2강에서 산성도 판별기준 설명하실 때, 두번째 판별기준에서 짝염기의 전자분산효과가 클수록 안정한 짝염기이기 때문에 산성도가 높다고 하셨습니다. 근데 세번째 판별기준에서는 s캐릭터가 클수록 전자가 더 안정한 오비탈에 존재하며 전자가 원자핵에 가까이 위치할수록 더 안정하다고 하셨는데, 위에서 말씀하신 전자분산효과가 크면 전자가 원자핵에서 멀어져서 안정하지 않아지는건 아닌가요?
3강에서 DMSO가 비양성자성이라고 했는데, 한개의 메틸기에서 수소양이온이 빠지고 그 때 남은 전자가 탄소와 황 사이에 이중결합을 형성할 수는 없을..까요...??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무언가 오해하신 것 같습니다.
일반화 시킬 수 없는 설명을 일반화 시키고 있습니다.
두개의 화합물이 주어졌을 때,
어떤 화합물의 산성도가 더 높을까?
하는 것에 대한 여러 고찰을 설명하였습니다.
그 중, 그 예시에서 전자분산효과가 더 크니, 강산이다~ 라고 하였지요.
심지어, 전자분산효과는 다른 주기의 원자끼리 비교하는 방법이라고 하였지요.
3번째, S 캐릭터 비교는
"원자"가 모두 동일할 때를 비교하고자 하는 것 입니다.
그러니, 서로 다른 이론을 서로 다른 상황에서 사용하는 것은 안됩니다.
그러니, 질문하신 내용은 서로 비교가 안되겠지요.
- 물론 비교할 수 있으나, 더 많이 배워야 합니다. 이것만으론 부족하지요
- 나중에 양자역학으로 배우실 것 입니다.
유기화학이 어려운 것이,
먼저 실험을 하고, 그 결과로 이론을 끼워맞춘 것이 많습니다.
그래서 처음엔 많이 어려우실 것 입니다.
@ 3강에서 DMSO가 비양성자성이라고 했는데, 한개의 메틸기에서 수소양이온이 빠지고 그 때 남은 전자가 탄소와 황 사이에 이중결합을 형성할 수는 없을..까요...??
=> 그럴 수도 있지요. 유기화학 계속 배우시다보면 아시게 될 겁니다.
=> 다만, 그럴려면, 탄소가 수소 이온을 1개 더 잃어야 하니, 쉽게 되진 않을 겁니다.
=> 꾹 참고 계속 배워보세요~
- 2021-01-19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