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할리데이 일반물리학 1 유효숫자 계산질문 보기문제 6.01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김대희 |
과목 | 일반물리학 | 강좌명 | |
작성자 | 김*훈 (s*******0) | 등록일 | 2020-05-04 14:22 |
강의는 정말 설명을 잘해주셔서 이해도 잘 되고 잘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요즘따라 유효숫자 계산이 헷갈려서 교재에있는 문제 하나 예시삼아서 질문드릴려고 합니다.보기문제 6.01에서 벽돌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구할때, (8*9.8+6)*0.700 를 계산기로 계산하면 59.08N 이 나옵니다. 59.08이 곱셈으로 나온 것 이니 유효숫자 자릿수 규칙을 적용해서 유효숫자가 가장 적은 자릿수에 맞춰 숫자를 바꿔써야 하지 않나요? 제가 모든 유효숫자 자릿수 계산 법칙은 아는데 언제 적용해야되는지 헷갈려 질문드립니다. 확정수에는 유효숫자 자릿수를 적용하지 않는다고 아는데, 확정수가 혹시 저런 59.08을 말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유효숫자 자리수 규칙은 어떨때 적용해야하나요?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유효숫자 계산에 대해서 오해를 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곱셈에서의 유효숫자 계산은 이미 잘 알고 계신 것 같으니,
질문에만 답을 드리겠습니다.
유효숫자 자리수 규칙은,
가장 마지막에 적용합니다.
적어주신 예시를 변형해서 예를 들어 드리겠습니다.
예시문항이 아래와 같다고 하겠습니다.
(8.111 * 9.8222 + 6.333) * 0.700
이 값을 계산기로 구하면 60.20060494이 나옵니다.
이때, 가장 작은 유효숫자 자리수는 소수 3자리 까지 이니,
정답은
60.20060494 ≒ 6.020 * 10 이 됩니다.
똑같이 계산해서, 위에 적어주신 예제를 풀어보면
(8 * 9.8 + 6) * 0.700 = 59.08 = 5.908 * 10
입니다.
도움이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처음에 배우면 많이 힘들어 하는 파트라서...
어째든 가장 마지막에 자리수를 맞춰준다고 생각하시면 편하실 것 같습니다.
- 2020-05-04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