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질문 있습니다.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권준표 |
과목 | 동역학 | 강좌명 | |
작성자 | 서*기 (g******i) | 등록일 | 2020-04-23 19:51 |
8강 세타 방향단위벡터의 미분을 생각 할때 싸인 방향이 잘 이해가 가지 안습니다. e 0(쎄타방향) 벡터를 생각해보면 e R 방향 에 수직인데 그모양을 설명하자면 대나무 꼬지에 동그랑 땡을 끼웠다치고 대나무는 R방향 벡터이고 동그랑땡은 수만은 R방향의 직교벡터라고 할수 있습니다. 그 수만은 직교벡터중 xy평면과 평행하고 쎄타가 돌아가는 방향과 일치하는방향의 벡터가 e 0(쎄타방향) 벡터 입니다 그렇다면 쎄타방향의 편미분을 고려 해봤을때 미소 쎼타에대한 미소벡터의 변화량입니다 이것을 생각해볼떄 저는 구를 자르는데 구에 원점을 지나고 xy평면과는 파이각도많큼 기울어져있고 그 평면안에는 반지름 방향과 쎄타 방향을 모두다 포함하는 평면일것입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코싸인 방량은 생기는 것을 알겠는데 싸인방향이 생기려면 한평면에서 벗어난 벡터가 생겨 높이 차이가 발생했다는 의미이고 오류가 생기는 느낌이 듭니다. 싸인방향이 어떻게 생기는지 모형을 한번 볼수있는 링크나 모형이 있을지 여줘보고 십고 또 이부분이 잘 이해가지 안습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이 부분이 가장 이해가 어려운 부분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답변 드리기에 앞서서 제가 강의에서 설명한 부분이 다소 이해하기에 복잡할 수 있다고 생각이 들어서,
다른 방법으로 설명한 강의를 유투브로 제공한 바 있습니다.
이 강의를 보시면 spherical coordinate에 대한 공부에
도움이 되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다시 질문으로 돌아가자면,
질문의 핵심은 를 알아보는 과정에서 sin항이 왜 발생하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이와 관련해서 예전에 같은 질문에 대한 답변이 있습니다.
아래의 답변을 보시고 이해가 가지 않으신다면 다시 한번 질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좀더 general한 case를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Spherical coordinate로 완전히 다른 임의의 두 벡터를 머리 속으로 그려보세요.
이 때, ,
,
도 완전히 다른 벡터를 그려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나서 우리는 나머지
모든 변수는 고정시키고 오로지 만의 변화에 따른
를 그려봅시다.
그러면 뿐만 아니라
에 대한 변화량도 생긴다는 것을 알게되실 겁니다.
이래도 이해가 가지 않는다면, 시간에 따라 벡터가 바뀌면서 일단 무조건 변화가 있다고 가정하세요.
무조건 변화가 있다고 가정하고, 변화량을 계산해봅시다. 변화량은 final-initial로 계산된다고 했죠?
cos항은 이 과정에서 분명히 방향이 생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sin항은 특별한 경우(회전 방향을 우리가 +라고 지정한 방향과 반대로 하거나)가 아니라면 방향으로 정의될 수 밖에 없습니다.
강의에 대한 질의응답은 유니스터디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고,
진로/고민/대학원/취업준비 관련된 것 또한 아래의 단톡방에서 질문하실 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https://open.kakao.com/o/gxretD1b
- 2020-04-24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