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20강 클라시우스 부등식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권준표 |
과목 | 공업열역학 | 강좌명 | |
작성자 | 안*성 (g**********8) | 등록일 | 2020-03-04 15:20 |
안녕하십니까 클라시우스 부등식전개에 대해 이해가 안가 계속 그 부분을 반복해서 듣다가 질문이 계속 생겨서 또 글을 남기게되었습니다...교수님께서 부등식전개에 대한 설명을 하실때 시스템은 사이클이 아니라서 두가지 열원이 필요하지 않아 그것만큼 열을 받으면 일을 한다고 하셨는데 그런데 복합시스템을 잡으셨을때도 sq`를 받고 sWc의 일을 하는데 시스템의 경우에는 하나의 열원을 받고 일을 하면 위배되는것이 아니고 말이 되는것 아닌가요? 이에 의문이 생겨서 앞에 강의도 봤는데 켈빈플라크식 서술과 클라시우스서술의 동등성에 대한 설명을 하실때도 이와 같은 경우를 보았습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질문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아래와 같이 천천히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1. 고열원/저열원 사이에서 작동하는 사이클이 있다.
2. 저열원을 시스템으로 보면, 방출되는 열량을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3. 사이클과 저열원(시스템)을 합쳐 하나의 복합 시스템을 만든다.
4. 이 복합 시스템은 고열원에서만 열을 받기 때문에 순일을 발생시킬 수가 없다. (켈빈-플랑크 서술에 의해)
5. 순일을 발생시킬 수 없기 때문에 폐적분 값은 음수가 나온다.
여기서 궁금하실 수 있는 질문은 복합 시스템을 사이클로써 볼 수가 없기 때문에 애초에 캘빈-플랑크 서술을 적용하는 것이 모순이지 않을까 하는 점입니다. 제가 한방에 끝내기를 강의할 때 당시 교재를 여러 개를 썼었는데, HEAT AND THERMODYNAMICS (Zemansky 저) 책에서는 조금 다르게 설명하고 있어서 제가 첨부파일로 설명했습니다. 거의 똑같은데 가역사이클을 추가로 넣어서 복합시스템을 비가역과 가역으로 만든다는 점이 조금 다른 점입니다.
비가역사이클의 경우 열을 받는 온도가 T이고, 원래는 T’이었다는 점만 유의하면 별 무리 없이 이해하실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사실 이 설명도 제가 한방에 끝내기에서 설명한 복합시스템과 사실 대동소이합니다.
열역학은 처음 기본 개념을 잡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제 강의를 수강하고 나서 반드시 스스로 책을 읽으시면서 개념을 정리하셔야 뒤에 나오는 사이클 등의 응용문제에서 어려움이 없으실 겁니다. 화이팅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2020-03-04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