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초기값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양진목 |
과목 | 회로이론 | 강좌명 | |
작성자 | 이*담 (w******1) | 등록일 | 2019-05-26 16:16 |
교수님 항상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1. 1 2차 회로 풀 때 초기값이라는게 0- 0 이 아니고 0+를 나타내는 건가요? 2. 2차회로문제에서 (ex. p109) 왜 t=0+ 일때의 값을 직접 구하지않고 커패시터전압,인덕터전류 연속성으로 t=0- 일때를 이용해서 푸는것인가요? 감사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양진목입니다.
초기조건은 크게 스위칭 직전(t=0-)과 스위칭 직후(t=0+) 이렇게 두가지가 있는데요 시간영역풀이에서 초기조건이라고 할 때는 문제의 맥락을 살펴서 스위칭 직전인지 직후인지를 구별해야합니다.
이 둘을 구분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t=0에서 스위치가 이동하거나 전원이 인가되면 회로방정식이 t=0전후로 달라지므로 각 소자의 전압전류가 불연속이 생깁니다. 이때 일반적으로 t>0에서의 전압전류를 구하므로 필요한 초기조건도 t>0 범위에 포함되는 t=0+가 되어야 합니다.
불연속이 생기면 t=0-와 t=0+의 전압전류가 다른 값을 가지는데요 이 와중에도 연속성을 유지하는 것이 오직 두가진데 인덕터전류와 커패시터전압입니다. 즉 이 둘은 t=0-, t=0+의 값이 동일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나머지 소자의 t=0+에서의 값을 구하는 것입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안녕히계세요.
- 2019-05-27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