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학습 Q&A

강의 내용 궁금증! 교수님이 직접 답변 드립니다.

  • 홈
  • 커뮤니티
  • 학습 Q&A
  • 학습 Q&A

Q&A 메뉴.png

※ 유의사항
강의에 나오지 않는 내용에 대한 풀이나 해설은 답변을 드릴 수가 없습니다.
학습과 무관한 내용 및 비방/욕설 등 게시판 성격과 무관한 내용은 사전 고지없이 삭제됩니다.
답변 완료된 게시글은 수정 및 삭제 불가합니다.

게시판 글보기
제목 답변 준비중 지수적 차수
질문유형 강좌내용 교수님 임계수
과목 공학수학 강좌명 [공학수학] 공학수학1 : 상미분방정식과 라플라스변환
작성자 박*호 (p****9) 등록일 2025-07-15 21:03

제가 궁금한 것을 정확히 전달하지 못하여 앞서 지수적 차수에 대해서 질문 드렸지만 다시 한 번더 질문하겠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지수적 차수의 정의와 관련하여 강의에서 적당한 T라는 것을 언급하셨습니다.

또한, 함수 f(t)가  지수적 차수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t>=T에 대해서  |f(t)| <= M x exp(kt)를 만족하는 양의 상수 T, M 그리고 실수 k가 존재해야한다 는 것은 알고있습니다.

이러할 때, 제가 궁금한 것은 상수 T입니다.


k가 양수이면, 양수 T일 때 t >= T에 대해서 함수 f의 증가 또는 감소 제한을 논의하는 것이 타당해보입니다.

그러나, k가 음수이면, 함수 f의 증가 또는 감소 제한을 양수 T에 대해서 논의하는 것이 아니라 음수 T, t <= T에 대해서 논의하는 것이 맞지 않나?라는 것이 저의 궁금증입니다


지수적 차수를 라플라스 변환과 관련하면 상수 T를 양수에 대해서 생각하는 것이 맞다고는 생각합니다. 그러나, 지수적 차수만을 놓고 생각해보면 상수 T가 음수인 경우에 대해서 왜 생각하지 않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