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ACE일반화학] ch.9 산과 염기(2) 24:19 문제4번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윤관식 |
과목 | 일반화학 | 강좌명 | |
작성자 | 김*길 (c******e) | 등록일 | 2024-06-25 16:21 |
궁금한 점은 앞의 문제와 달리 물의 자발적 이온화 된 [H+]or[OH-] 를 고려안하는 이유는 NaOH의 농도가 그것보다 엄청 커서라고 봐야하는지요 약산일 경우엔 이러한 계산법을 수행하면 안될 것 같은데 맞는지요 그리고 염기의 이온화상수를 구할 때와 비슷한 상황인데 왜 [NaOH]는 고려대상에 넣지 않는 것인지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윤*식
교수님
안녕하세요 한길씨
네. 맞습니다. [OH-]=10-2M 이므로 물의 [OH-]는 무시할 수 있습니다.
강산이라도 15번처럼 농도가 작다면 용액속 전체 [H+]는 HCl과 H2O를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그럼 열공하세요~
홧팅~!!
- 2024-07-03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