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학습 Q&A

강의 내용 궁금증! 교수님이 직접 답변 드립니다.

  • 홈
  • 커뮤니티
  • 학습 Q&A
  • 학습 Q&A

Q&A 메뉴.png

※ 유의사항
강의에 나오지 않는 내용에 대한 풀이나 해설은 답변을 드릴 수가 없습니다.
학습과 무관한 내용 및 비방/욕설 등 게시판 성격과 무관한 내용은 사전 고지없이 삭제됩니다.
답변 완료된 게시글은 수정 및 삭제 불가합니다.

게시판 글보기
제목 답변완료 ACE일반화학] ch. 7 열화학 (2) 11:21 표준생성엔탈피의 상태
질문유형 강좌내용 교수님 윤관식
과목 일반화학 강좌명
작성자 김*길 (c******e) 등록일 2024-06-22 15:18

표준생성엔탈피의 반응물이 가장 안정한 성분원소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반응물이 고체(s)상태여야 하지 않나요?

 

예를들어 산소(O2)는 gas인데 고체 혹은 액체 산소보다 불안정하지 않나 싶어서요.

 

아니면, 표준상태 25도, 1atm일 때, 홑원소가 가지는 상태 기준인가요? 예를 들면 산소가 표준상태에선 기체로 존재하기 때문에 그런건가 싶어요.

 

그리고 생성물의 경우 표준생성엔탈피가 생성물의 상태에 따라서 달라지는거 맞나요?

예를 들면 물과 수증기의 표준생성엔탈피가 달라지는 거겠죠? 여기서 궁금한게 표준상태라고 정의됐는데 수증기의 경우 표준상태가 될 수 없지 않을까 싶어서요. 1기압에서 100도 이상이 돼야 하지 않나 싶은데. 표준상태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댓글
0
윤*식 교수님

안녕하세요 한길씨

 

 

1. 아직 basic 과정이라 언급되지 않은 내용이긴 한데, 표준상태에서 가장 안정한 원소에는 기체, 액체, 고체가 모두있습니다.

 

기체 : H2, N2, O2, F2, Cl2 + 비활성기체

 

액체 : Br2, Hg

 

고체 : I2, Na, Fe, Au, C(흑연)....등 

 

 

2. 네. 물질의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표준상태(25°C, 1atm)에서 가장 안정한 상태인 원소로 부터 만드는 것일뿐 생성물도 표준상태여야 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그럼 열공하세요~

홧팅~!!

  • 2024-07-03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