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19강 47:40 산소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조성민 |
과목 | 일반화학 | 강좌명 | |
작성자 | 손*승 (s*******8) | 등록일 | 2024-03-14 10:56 |
이 부분에서 루이스구조식의 가장 오른쪽에 배치되어 있는 산소의 원자가 전자의 개수가 왜 6개로 살아 남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질산의 구조에서 질소와 산소는 공유결합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형성합니다.
일단 위의 산소는 질소의 전자 2개와 산소의 전자2개를 사용하여 2중 결합을 형성하죠.
왼쪽의 산소는 질소의 전자 1개와 산소의 전자 1개로 단일결합을 형성하고, 산소는 전자 1개를 수소와 공유결합을 형성합니다.
자 이제 오른쪽의 산소와 질소는 배위결합을 형성합니다. 즉 질소의 전자 2개가 모두 결합에 사용되어요. 산소는 공유결합을 형성하면서 전자를 내놓지 않는 거죠.
그러므로 산소에 형식전하 -1이 붙습니다.
또는 유기화학 강의도 수강하고 계시죠. 유기화학의 결합수와 배위결합에서 다룬 것처럼
질소의 결합수가 4인 경우 형식 전하 +1이 생기죠.
산소는 결합수가 2인 경우 형식 전하가 없고(0), 결합수가 1인 경우 형식 전하 -1이 생기는 것과 같네요.
- 2024-03-17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