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학습 Q&A

강의 내용 궁금증! 교수님이 직접 답변 드립니다.

  • 홈
  • 커뮤니티
  • 학습 Q&A
  • 학습 Q&A

Q&A 메뉴.png

※ 유의사항
강의에 나오지 않는 내용에 대한 풀이나 해설은 답변을 드릴 수가 없습니다.
학습과 무관한 내용 및 비방/욕설 등 게시판 성격과 무관한 내용은 사전 고지없이 삭제됩니다.
답변 완료된 게시글은 수정 및 삭제 불가합니다.

게시판 글보기
제목 답변완료 19강 47:40 산소
질문유형 강좌내용 교수님 조성민
과목 일반화학 강좌명
작성자 손*승 (s*******8) 등록일 2024-03-14 10:56

이 부분에서 루이스구조식의 가장 오른쪽에 배치되어 있는 산소의 원자가 전자의 개수가 왜 6개로 살아 남았는지 궁금합니다.
원자가 전자가 6개에서 질소와 결합을 해도 그대로 6개가 남아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이해한거까지만 적어보면,
(1)질소는 원자가 전자가 5개이고 3-를 띄고 있는데, 가장 상단의 산소와 이중결합으로 질소의5개중 2개의 전자를 결합시키고
(2)가장 왼쪽에 있는 HO 와 결합을 할 때 전자가 얼마나 결합되는지 잘 이해했는지는 모르지만
   H와O가 결합하여 산소의 원자가전자가 5개로 살아남았고 질소와 단일결합으로 산소는 다시 4개로 남았을 텐데, 점을 안찍어주셔서 다 사라진건가 모르겠습니다..!
마지막으로 (3) 3번의 결합을 한 질소는 2개의 전자가 남았을 텐데, 가장 우측에 있는 산소와 단일결합만으로 가능한게 궁금합니다.
단일 결합을 했다고 한들 원자가 전자가 5개가 남아야 할 것 같은데, 6개의 점이 왜 찍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아니면 전체적인 어떤 개념을 제가 잘 모르고 있는 것일 까요?
감사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댓글
0
조*민 교수님

질산의 구조에서 질소와 산소는 공유결합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형성합니다.

 

일단 위의 산소는 질소의 전자 2개와 산소의 전자2개를 사용하여 2중 결합을 형성하죠.

왼쪽의 산소는 질소의 전자 1개와 산소의 전자 1개로 단일결합을 형성하고, 산소는 전자 1개를 수소와 공유결합을 형성합니다.

자 이제 오른쪽의 산소와 질소는 배위결합을 형성합니다. 즉 질소의 전자 2개가 모두 결합에 사용되어요. 산소는 공유결합을 형성하면서 전자를 내놓지 않는 거죠.

그러므로 산소에 형식전하 -1이 붙습니다.

 

또는 유기화학 강의도 수강하고 계시죠. 유기화학의 결합수와 배위결합에서 다룬 것처럼

질소의 결합수가 4인 경우 형식 전하 +1이 생기죠. 

산소는 결합수가 2인 경우 형식 전하가 없고(0), 결합수가 1인 경우 형식 전하 -1이 생기는 것과 같네요.

 

 

 

  • 2024-03-17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