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25강 축전기 질문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이정욱 |
과목 | 일반물리학 | 강좌명 | |
작성자 | 오*구 (o****0) | 등록일 | 2024-03-03 19:00 |
도체 내부에는 분명 전기장이 없다고 배웠는데 어떻게 잔자가 이동해서 커패시터에 쌓인다는건가요??
전기장이 도체를 따라 형성이 된다면 어떤원리로 전기장이 방향이 변하나요? 네모 모양의 회로를 생각해보면 전선의 모양이 네모이고 전기장이 전기선 내부를 다라 형성이 되어야 전자가 움직일텐데 어떤 원리로 전기장이 도체를 따라서 내부에 형성이 된다는 건가요>?>>>>??????
-----------------------------------------------------------------------------------
전원과 축전기의 전압이 같아지면 도선의 전기장이 0이 된다는거는 알겠습니다. 그런데 충전되는 동안 어떤원리로 전기장이 도선모양으로 형성이 되는건가요?? 왜 그런걸까요?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이정욱 선생입니다.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조금 엄밀한 설명은..장론(Field theory)를 통한 설명이 가능하지만, 일반물리학 수준에서의 답을 올립니다.
우선, 전기전도 모델을 생각해보면, 도선을 불연속적인 도체의 결합이라고 가정합니다.
이 불연속적인 도체내에 전기장으로 인해 전위는 선형적으로 변한다는 가정을 하고, 이를 만족하는 물질이 옴성저항체 이지요.
도선의 양단에 전위차를 형성시키게 되면, 전위가 선형적으로 변하는 과정에서의 전기장이 형성되게 되고,
차폐가 가능하다면, 차폐된 공간내에 전기장이 존재하게됩니다.
물론 이 전기장은 공간내에 광속으로 전파되는 것이고, 이 전파는 도선의 곡률과는 관계없이 도선 내부에 ...전달이 되는 모형으로 이해하는 것입니다.
- 2024-03-14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