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serway 대학물리학 교재 19장 p462(열의 일당량) | ||
---|---|---|---|
질문유형 | 기타 | 교수님 | 이정욱 |
과목 | 일반물리학 | 강좌명 | |
작성자 | 김*우 (j**********0) | 등록일 | 2023-12-09 21:12 |
강의와 책을 읽으면서 열의 일당량이란 것을 제가 정리해보았는데 제가 생각한 것이 맞는지 확인하고 싶습니다
먼저 열의 일당량이란 개념은 역학과 열역학이 따로 발전하여 생겨난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역학과 열역학이 서로 관계가 없던 시절에는 계로의 에너지 전달 과정을 역학에서는 힘을 통한 역학적 일로 보았고, 열역학에서는 열로 보았습니다.
하지만 줄의 열의 일당량 실험을 통해 p462의 그림 19.1을 역학적으로 해석하면 지구의 중력에 의한 역학적 일이 계의 퍼텐셜 에너지를 감소시키고, 이는 보존력이므로 감소된 퍼텐셜 에너지는 나무 판자의 회전 운동 에너지가 됩니다. 하지만 물의 저항력 때문에 비보존력이 한 일이 계의 역학적 에너지를 내부 에너지로 변환시킵니다. 이로 인해 물의 온도가 올라갑니다. 열역학적 해석으로는 열이 물의 온도를 올립니다. 여기서 공통점이 생깁니다. 역학적 관점에서는 감소된 역학적 에너지가 물을 데우고, 열역학적 관점에서는 열이 물을 데웁니다. 따라서 역학적 에너지와 열 사이에는 관련이 있다.는 결론이 나오게 됩니다.
이렇게 생각하는게 맞을까요??..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이정욱 입니다.
네~ 계에 대한 정의를 추가로하면 더욱 좋겠지만, 개괄적으로는 잘 이해하고 있는 듯 합니다.
- 2023-12-16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