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2강 48분 58초 / KVL관련하여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양진목 |
과목 | 회로이론 | 강좌명 | |
작성자 | 장*영 (l************8) | 등록일 | 2023-11-08 17:22 |
안녕하세요.
[회로이론 상] 2강 48분 58초 부분에서 KVL에 관하여 설명하시는 도중 각 마디를 지날 때 전압이 높아지는지 낮아지는지 본다고 하셨는데요
+ 에서 - 방향으로 간다고 하여 무조건 전압하강이 아니지 않나요? v의 부호도 확인하여 전압이 v > 0 이런식으로 양의 값을 가질 때 + - 방향으로 가면 전압하강이고 v < 0 일 때 +에서 - 방향으로 가면 전압상승 이렇게 판단하는거 아닌가요?
따라서 교재 p.9 하단부 2. KVL(키르히호프전압법칙)에서 (3) 적용부분에서 v1, v2, v3 모두 양수일 때로 가정하고 보는게 맞는지요?
1강에서 교재 p.3에서 2. 전압(voltage)의 (2) 표현방법 설명해주신거랑 또 강의에서 전압 상승 및 강하를 그림 그려주시면서 설명해주신거를 떠올려보면 굉장히 혼란스럽네요 ㅠㅠ.
무조건 +에서 - 로 간다하면 `전압 하강`이라고 봐야 하나요? 실제로 +쪽이 -쪽보다 상대적으로 5V만큼 낮을 때도 그렇게 봐야되는건지요 상당히 혼란스럽네요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양진목입니다.
질문하신 부분은 교재3페이지의 내용과 관련이 있는데요 회로이론에서 KCL, KVL은 전압, 전류의 (대수적인) 합이 0인 것으로 기술하고 있습니다. `대수적`이라는 말은 해당 변수가 양수, 음수인지 따지지 않고 그냥 전압의 극성, 전류의 방향에 따라 형식적으로 변수의 부호를 결정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그래서 이렇게 형식적으로 결정된 것과 실제 상황이 다른 것처럼 보일 수 있는데요 그러나 이것은 표현만 다른 것일 뿐 본질적으로는 동일합니다.
즉, 교재 3페이지에서 전압의 표현방법에 관해 설명드릴 때 a단자가 b단자보다 3V 높다는 것과 a단자가 b단자보다 -3V 낮다는 것이 (수학적으로) 같은 표현이라고 말씀드렸는데요 전압강하, 전압상승도 동일합니다.
그래서 +(a단자)에서 -(b단자)방향으로 간다고 하면 일단은 그 값이 양수인지 음수인지 따지지 않고 전압강하로 취급하면 됩니다. 그런데 이렇게 가정해서 구한 값이 가령 -3V인 경우 -부호를 제거한 다음 `b단자가 a단자보다 3V 전압이 높다.`고 하면 됩니다.
이와 같이 처리하는 것이 편리한 것은 회로의 구조가 복잡해지면 맨처음 회로를 딱 보고 어느 단자의 전압이 더 높고 낮은지 또한 어느 소자에 전류가 어느 방향으로 흐르는지 직관적으로 알 수 없기 때문에 그냥 임의로 전압의 극성과 전류의 방향을 잡은 다음 기계적으로 전압강하의 합(또는 전압상승의 합)이 0임을 적용해서 각 소자의 전압(또는 마디전압)을 구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구한 전압의 값이 음수이면 그때 가서 마이너스부호를 제거하고 정확한 극성을 표시하면 되므로 편리합니다.
상기 사고방식은 수동부규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뿐 아니라 회로이론전반에 걸쳐 적용되는 것이므로 잘 이해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안녕히계세요.
- 2023-11-09
- 2024-12-12 수정